Skip to content
Home » 일 야구 도 하기 |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인기 답변 업데이트

일 야구 도 하기 |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인기 답변 업데이트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일 야구 도 하기 –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s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s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EBSi 고교강의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347회 및 좋아요 2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일 야구 도 하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 일 야구 도 하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세상에! 아직도 고전 공부에 고전한다구요?🤭
수많은 학생들에게 한 줄기 빛이 되어주던 10CUT 고전소설!
이번엔 🔥고전산문🔥이다!
아무리 읽어도 어려운 고전산문을 곽동훈 선생님과 함께 살펴보세요👀
5분 만에 어려운 고전산문 한 편 뚝딱! 할 수 있답니다📚
#고전산문 #일야구도하기 #곽동훈 #5분특강
더 많은 고전산문 영상 보러가기 ▶︎ https://bit.ly/3CSWCxI
EBSi 국가대표 고교 강의 ▶ http://www.ebsi.co.kr

일 야구 도 하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람들이 장마 진 요하(遼河)를 건널 때에 기도하듯이 하늘을 쳐다보고 건너는 것은 물을 보면 어지러워 굴러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사람들은 요하가 물소리가 나지 않는 …

+ 여기를 클릭

Source: encykorea.aks.ac.kr

Date Published: 4/22/2021

View: 6827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 블로그 – 네이버

제목인 ‘일야구도하기’는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넌 기록’이라는 뜻으로, 글쓴이는 강을 건너는 것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은 감각과 외물에 현혹 …

+ 여기에 보기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10/19/2021

View: 4786

수능특강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 –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입니다. 얼마 전에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제 …

+ 여기에 표시

Source: munbunseon.tistory.com

Date Published: 9/5/2021

View: 9696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전문/줄거리/해설

무엇보다 이 작품이 고금을 막론하고 높게 평가된 데에는 인식론적이고 철학적인 주제의식에 있다. “일야구도하기”는 동일한 현상이나 사물도 듣거나 보는 …

+ 여기에 표시

Source: sparkwindows.tistory.com

Date Published: 6/27/2022

View: 3245

일야구도하기 – 박지원

‘일야구도하기’는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에 다녀온 경험을 쓴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실려 있는 글로, 여정과 견문을 기록한 기행 수필이다. 여기에서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happien.tistory.com

Date Published: 1/10/2022

View: 8796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국어문학창고

줄거리 : 시내가 산과 산 사이로 흘러나와 급한 경사와 바위 등의 굴곡에 의하여 부딪힌 물결이 울부짖는 듯하게 들리기도 하고 전차 만대가 굴러가는 …

+ 여기에 표시

Source: seelotus.tistory.com

Date Published: 3/16/2021

View: 402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박지원 – Daum 블로그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박지원- 나의 거처는 산중(山中)에 있었는데, 바로 문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해마다 여름철..

+ 여기에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5/22/2021

View: 7687

일야구도하기 – 박지원 by – Prezi

1. 사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가? 2. 살아갈 때 외적인 것에 현혹되지 않고. 본질만을 추구하는 삶이 좋은가? 시각,청각등 감각적 …

+ 여기에 표시

Source: prezi.com

Date Published: 1/6/2022

View: 2547

一夜九渡河記(일야구도하기)-朴趾源(박지원) – 빈막(賓幕)

一墜則河也(일추칙하야) : 한 번 말에서 떨어지면 곧 물인 것이다. 以河爲地(이하위지) : 물로 땅을 삼고, 以河爲衣(이하위의) : 물로 옷을 삼고 …

+ 여기를 클릭

Source: hwalove.tistory.com

Date Published: 8/20/2021

View: 2891

일야구도하기 해석 hwp 기출 비평 – 요거플러스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박지원. 나의 거처는 산중山中에 있었는데, 바로 문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 번 지나 청목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yogurtplus.tistory.com

Date Published: 7/9/2022

View: 745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일 야구 도 하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일 야구 도 하기

  • Author: EBSi 고교강의
  • Views: 조회수 1,347회
  • Likes: 좋아요 25개
  • Date Published: 2022. 5. 2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RBll5Z0Xf5c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시내가 산과 산 사이로 흘러나와 급한 경사와 바위 등의 굴곡에 의하여 부딪힌 물결이 울부짖는 듯하게 들리기도 하고 전차 만대가 굴러가는 것처럼 큰소리를 낸다. 사람들은 이것을 설명하여 이곳이 옛날의 전쟁터였기 때문에 그런 소리가 난다고 한다. 그러나 소리는 듣기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들을 수 있다. 자신이 옛날에 산속의 집에 누워 있자니 마음이 슬플 때, 기쁠 때, 화가 날 때 들려오는 소리가 모두 달랐다고 하였다.

사람들이 장마 진 요하(遼河)를 건널 때에 기도하듯이 하늘을 쳐다보고 건너는 것은 물을 보면 어지러워 굴러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사람들은 요하가 물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요하가 평야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이라 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낮에만 건너므로 눈에 보이는 거친 파도 때문에 소리가 귀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밤에 요하를 건너면 소리가 크게 들리는 것은 눈에 거친 파도가 보이지 않아 귀로 위협적인 소리만 듣기 때문이다. 낮에도 삐끗하면 물로 굴러 떨어질 위태로운 자세로 강을 건너니, 위태로운 상황에 긴장하기 때문에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자주 그 강을 건너다니니 익숙하여져서 강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져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우리의 감관은 외물에 의하여 지배적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물의 정확한 실체를 살필 수가 없다. 이러한 인식의 허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감관과 그것에 의하여 움직이는 감정과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 「일야구도하기」의 요지이다.

박지원은 시내를 건너며 귀에 들려오는 물소리가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이를 통하여 인식의 허실을 예리하게 지적하고 있다.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도달하는 방법은 외계의 영향을 배제한 순수한 이성적 판단에 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끝에서는 인생은 시내를 건너는 것보다 더 크고, 더 험한 강을 건너가는 것과 같으므로, 자신의 몸을 닦고 자신의 총명함에 의거하여야 한다고 하여, 이러한 감정을 배제한 이성적인 인식을 궁극적으로는 삶을 영위하는 데까지 확충하여 이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문학작품해설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영촌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길잡이 외물에 현혹되지 않는 삶의 자세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 중국으로 유학을 가던 원효대사가 잠결에 시원하게 마신 물이 아침에 해골물인 것을 확인하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 즉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있다’고 깨달았습니다. 연암 박지원도 하룻밤에 물쌀이 거센 강을 아홉 번 건너면서 강물에 대한 두려움이 마음에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중요한 것은 내 마음입니다. 여러분도 외물에 현혹되지 말고 스스로 마음을 잘 지키기 바랍니다. 선생님 먼저 찾아 보는 문학작품 해설 http://9594jh.blog.me/221186017309 ​ 이해의 배경 이 작품은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에 다녀온 경험을 쓴 ‘열하일기(熱河日記)’ 중 ‘산장잡기(山莊雜記)’에 실려 있는 글로, 강물과 관련된 경험을 통해 외부의 사물에 대한 감각 기관과 마음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제목인 ‘일야구도하기’는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넌 기록’이라는 뜻으로, 글쓴이는 강을 건너는 것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은 감각과 외물에 현혹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사물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눈과 귀와 같은 감각 기관에 의지하여 세상을 바라보지 않고 마음을 다스리며 사물을 이성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작품 읽기 강물은 두 산 사이에서 쏟아져 나와, 바윗돌과 부딪치며 거세게 다툰다. 그 화들짝 놀란 듯한 파도, 분노를 일으킨 듯한 물결, 슬피 원망하는 듯한 여울물은 내달아 부딪치고 휘말려 곤두박질치며 울부짖고 고함치는 듯하여, 항상 만리장성을 쳐부술 듯한 기세를 지니고 있다. 전거(戰車) 만 채, 전기(戰騎) 만 대(隊), 전포(戰砲) 만 문, 전고(戰鼓) 만 개로도, 무너져 내려앉고 터져 나오며 짓누르는 저 강물의 소리를 비유하기에 부족하다. 백사장에는 거대한 바윗돌이 우뚝하게 늘어서 있고, 강둑에는 버드나무들이 어두컴컴하여 형체를 분간하기 힘들다. 흡사 물귀신들이 다투어 나와 잘난 체 뽐내는 듯하고, 좌우에서 이무기들이 사람을 낚아채려고 애쓰는 듯하다. 어떤 이가 “이곳은 옛 전쟁터이기 때문에 강물 소리가 그런 것이다.”라고 한다. 하지만 그 때문에 그런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강물 소리란 어떻게 듣느냐에 달려 있을 뿐이다. 나는 산중에 살고 있는데, 대문 앞에 큰 계곡이 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소나기가 한 차례 지나갔다 하면 계곡물이 갑자기 불어나, 노상 전거와 전기와 전포와 전고 소리를 듣게 되니, 마침내 귓병이 날 지경이 되었다. 나는 예전에 방문을 닫고 누워서 그 소리를 다른 비슷한 소리들에 견주어 보며 들은 적이 있었다. 솔숲에 바람이 불 때 나는 듯한 소리, 이는 계곡물 소리를 청아하게 들은 경우다. 산이 갈라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소리, 이는 흥분해서 들은 경우다. 개구리 떼가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이는 우쭐해서 들은 경우다. 만개의 축(筑)이 연거푸 울리는 듯한 소리, 이는 분노하면서 들은 경우다. 순식간에 천둥 번개가 치는 듯한 소리, 이는 깜짝 놀라서 들은 경우다. 찻물이 때론 약하게 때론 세게 끓는 듯한 소리, 이는 운치 있게 들은 경우다. 거문고의 낮고 높은 가락이 잘 어우러져 나는 듯한 소리, 이는 슬퍼하면서 들은 경우다. 한지를 바른 창문이 바람에 우는 듯한 소리, 이는 혹시 누가 왔나 하면서 들은 경우다. 그런데 이는 모두 소리를 올바로 들은 것이 아니요, 다만 마음속으로 가상(假想)한 바에 따라 귀가 소리를 지어낸 것일 뿐이다. 지금 나는 밤중에 한 줄기의 강을 아홉 번이나 건넜다. 이 강은 북쪽 국경 너머에서 흘러나와 만리장성을 돌파하고는,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황화진천(黃花鎭川) 등 여러 강들과 합류하여, 밀운성(密雲城) 아래를 지나면 백하(白河)가 된다. 나는 어제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백하가 바로 이 강의 하류였다. 내가 처음 요동(遼東)에 들어섰을 때 바야흐로 한여름이라 뙤약볕 속을 가는데, 갑자기 큰 강이 앞을 가로막으면서 시뻘건 물결이 산더미같이 일어나 끝이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아마 천 리 너머 먼 지역에 폭우가 내린 때문일 터이다. 강물을 건널 적에 사람들이 모두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보기에, 나는 그 사람들이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향해 속으로 기도를 드리나 보다 하였다. 그런데 한참 있다가 안 사실이지만, 강을 건너는 사람이 물을 살펴보면 물이 소용돌이치고 용솟음치니, 몸은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는 듯하고 눈길은 물살을 따라 흘러가는 듯하여, 곧 어지럼증이 나서 물에 빠지게 된다. 그러니 저 사람들이 고개를 쳐든 것은 하늘에 기도를 드리는 것이 아니요, 물을 외면하고 보지 않으려는 짓일 뿐이었다. 또한 잠깐 새에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판인데 어느 겨를에 속으로 목숨을 빌었겠는가. 이와 같이 위태로운데도, 강물 소리를 듣지 못하였다. “요동 벌판이 평평하고 드넓기 때문에 강물이 거세게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다.”라고 모두들 말하였다. 그러나 이는 강에 대해 잘 모르고 한 말이다. 요하(遼河)가 소리를 내지 않은 적이 없건만, 단지 밤중에 건너지 않아서 그랬을 뿐이다. 낮에는 물을 살펴볼 수 있는 까닭에 눈이 오로지 위태로운 데로 쏠리어, 한창 벌벌 떨면서 두 눈이 있음을 도리어 우환으로 여기는 터에, 또 어디서 소리가 들렸겠는가? 그런데 지금 나는 밤중에 강을 건너기에 눈으로 위태로움을 살펴보지 못하니, 위태로움이 오로지 듣는 데로 쏠리어 귀로 인해 한창 벌벌 떨면서 걱정을 금할 수 없었다. 나는 마침내 이제 도(道)를 깨달았도다! 마음을 차분히 다스린 사람에게는 귀와 눈이 누를 끼치지 못하지만, 제 귀와 눈만 믿는 사람에게는 보고 듣는 것이 자세하면 할수록 병폐가 되는 법이다. 방금 내 마부가 말에게 발을 밟혔으므로, 뒤따라오는 수레에 그를 태웠다. 그리고 나서 말의 굴레를 풀어 주고 말을 강물에 둥둥 뜨게 한 채로, 두 무릎을 바짝 오그리고 발을 모두어 말 안장 위에 앉았다. 한번 추락했다 하면 바로 강이다. 나는 강을 대지처럼 여기고, 강을 내 옷처럼 여기고, 강을 내 몸처럼 여기고, 강을 내 성정(性情)처럼 여기었다. 그리하여 마음속으로 한번 추락할 것을 각오하자, 나의 귓속에서 마침내 강물 소리가 없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무려 아홉 번이나 강을 건너는 데도 아무런 걱정이 없어, 마치 안석 위에 앉거나 누워서 지내는 듯하였다. 옛적에 우(禹)임금이 강을 건너는데, 황룡이 배를 등에 업는 바람에 몹시 위험하였다. 그러나 죽고 사는 문제에 대한 판단이 먼저 마음속에 분명해지자, 용이든 도마뱀붙이든 그의 앞에서는 대소(大小)를 논할 것이 못 되었다. 소리와 빛깔은 나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다. 이러한 외부의 사물이 항상 귀와 눈에 누를 끼쳐서, 사람이 올바르게 보고 듣는 것을 이와 같이 그르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강을 건너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할 뿐 아니라, 보고 듣는 것이 수시로 병폐가 됨에랴! 나는 장차 나의 산중으로 돌아가 대문 앞 계곡의 물소리를 다시 들으며 이와 같은 깨달음을 검증하고, 아울러 처신에 능란하여 제 귀와 눈의 총명함만 믿는 사람들에게도 경고하련다. 열하일기 감상하기 박지원의 열하일기 한 번 보겠습니다. <강물은 두 산 사이에서 쏟아져 나와, 바윗돌과 부딪치며 거세게 다툰다. 그 화들짝 놀란 듯한 파도, 분노를 일으킨 듯한 물결, 슬피 원망하는 듯한 여울물은 내달아 부딪치고 휘말려 곤두박질치며 울부짖고 고함치는 듯하여, 항상 만리장성을 쳐부술 듯한 기세를 지니고 있다. 의인법 열거법 등을 사용하여 강물의 모습과 소리를 표현함 전거(戰車) 만 채, 전기(戰騎) 만 대(隊), 전포(戰砲) 만 문, 전고(戰鼓) 만 개로도, 무너져 내려앉고 터져 나오며 짓누르는 저 강물의 소리를 비유하기에 부족하다>. 전거 전쟁할 때 쓰는 수레, 전기 기마명, 전고 전투용 북 등을 사용하여 힘차게 흐르는 강물 소리를 생생하게 묘사함 <강물은 ∼ 부족하다> 강물의 모습과 소리를 다양한 비유적 표현을 통해 시각적, 청각적, 역동적으로 묘사함 백사장에는 거대한 바윗돌이 우뚝하게 늘어서 있고, 강둑에는 버드나무들이 어두컴컴하여 형체를 분간하기 힘들다. 흡사 물귀신들이 다투어 나와 잘난 체 뽐내는 듯하고, 좌우에서 이무기들이 사람을 낚아채려고 애쓰는 듯하다. [어떤 이]가 “이곳은 옛 전쟁터이기 때문에 강물 소리가 그런 것이다.”라고 한다. 강물 소리를 무서운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 강물 소리가 고정된 것이라고 보는 일반적 인식 하지만 그 때문에 그런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강물 소리란 어떻게 듣느냐에 달려 있을 뿐이다. 강물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이 문제 어떤이와 다른 글쓴이의 생각을 직접적 제시 기: 다양하게 들리는 물소리와 듣는 이의 마음가짐 나는 산중에 살고 있는데, 대문 앞에 큰 계곡이 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소나기가 한 차례 지나갔다 하면 계곡물이 갑자기 불어나, 노상 전거와 전기와 전포와 전고 소리를 듣게 되니, 마침내 귓병이 날 지경이 되었다. 나는 예전에 방문을 닫고 누워서 그 소리를 다른 비슷한 소리들에 견주어 보며 들은 적이 있었다. 글쓴이의 경험을 떠올리는 부분 <솔숲에 바람이 불 때 나는 듯한 소리, 이는 계곡물 소리를 청아하게 들은 경우다. 산이 갈라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소리, 이는 흥분해서 들은 경우다. 개구리 떼가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이는 우쭐해서 들은 경우다. 만개의 축(筑)이 연거푸 울리는 듯한 소리, 이는 분노하면서 들은 경우다. 거문고 비슷한 대나무 악기 순식간에 천둥 번개가 치는 듯한 소리, 이는 깜짝 놀라서 들은 경우다. 찻물이 때론 약하게 때론 세게 끓는 듯한 소리, 이는 운치 있게 들은 경우다. 거문고의 낮고 높은 가락이 잘 어우러져 나는 듯한 소리, 이는 슬퍼하면서 들은 경우다. 한지를 바른 창문이 바람에 우는 듯한 소리, 이는 혹시 누가 왔나 하면서 들은 경우다>. <솔숲에 ∼ 경우다> 마음가짐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 계곡물 소리를 다양한 비유적 표현으로 열거하여 나타내고, 계곡물 소리를 다른 비슷한 소리와 견주어 보는 모습에서 글쓴이의 뛰어난 관찰력이 드러남 그런데 이는 모두 소리를 올바로 들은 것이 아니요, 다만 마음속으로 가상(假想)한 바에 따라 귀가 소리를 지어낸 것일 뿐이다. 가정한 듣는 이의 마음가짐에 따라 들리는 소리가 달라진다 승: 마음속의 생각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 물소리 지금 나는 밤중에 한 줄기의 강을 아홉 번이나 건넜다. 제목과 관련 있는 구절로 글쓴이가 글을 쓰고 있는 날 경험한 일을 보여 주며, 시간상 현재에 해당. 이는 그 강의 굴곡이 매우 심하기 때문이다. 굴곡이 심한 강을 가로질러 건너려면 하나의 강을 여러 번 건너야 한다 이 강은 북쪽 국경 너머에서 흘러나와 만리장성을 돌파하고는,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황화진천(黃花鎭川) 등 여러 강들과 합류하여, 밀운성(密雲城) 아래를 지나면 백하(白河)가 된다. 하북성과 북경 북부를 흐르는 강. 북경에서 열하에 가려면 백하를 건너야 했다. 나는 어제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백하가 바로 이 강의 하류였다. 내가 처음 요동(遼東)에 들어섰을 때 바야흐로 한여름이라 뙤약볕 속을 가는데, 글쓴이의 경험을 떠 올리는 부분 갑자기 큰 강이 앞을 가로막으면서 시뻘건 물결이 산더미같이 일어나 끝이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아마 천 리 너머 먼 지역에 폭우가 내린 때문일 터이다. 강물을 건널 적에 사람들이 모두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보기에, 강물이 두려워서 물을 보지 않는 행위 나는 그 사람들이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향해 속으로 기도를 드리나 보다 하였다. 그런데 한참 있다가 안 사실이지만, 강을 건너는 사람이 물을 살펴보면 물이 소용돌이치고 용솟음치니, 몸은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는 듯하고 눈길은 물살을 따라 흘러가는 듯하여, 곧 어지럼증이 나서 물에 빠지게 된다. 그러니 저 사람들이 고개를 쳐든 것은 하늘에 기도를 드리는 것이 아니요, 물을 외면하고 보지 않으려는 짓일 뿐이었다. 또한 잠깐 새에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판인데 어느 겨를에 속으로 목숨을 빌었겠는가. <이와 같이 위태로운데도, 강물 소리를 듣지 못하였다. 눈앞에 보이는 위태함에 신경을 쓰느라 강물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처럼 느끼기 때문 “요동 벌판이 평평하고 드넓기 때문에 강물이 거세게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다.”라고 모두들 말하였다. 그러나 이는 강에 대해 잘 모르고 한 말이다. 요하(遼河)가 소리를 내지 않은 적이 없건만, 청나라의 북쪽 국경 너머에서 발원하여 봉천(지금의 선양)과 금주 사이를 흐르는 큰 강. 한나라 때 이 강을 경계로 해서 요동과 요서의 두 군(郡)을 설치하였다. 단지 밤중에 건너지 않아서 그랬을 뿐이다. 낮에는 물을 살펴볼 수 있는 까닭에 눈이 오로지 위태로운 데로 쏠리어, 한창 벌벌 떨면서 두 눈이 있음을 도리어 우환으로 여기는 터에, 또 어디서 소리가 들렸겠는가>? <이와 같이 ∼ 들렸겠는가> 사람들이 낮에는 눈에 보이는 것에만 현혹되어 귀에 들리는 것에는 신경 쓰지 못함을 강조함. 그런데 지금 나는 밤중에 강을 건너기에 눈으로 위태로움을 살펴보지 못하니, 위태로움이 오로지 듣는 데로 쏠리어 귀로 인해 한창 벌벌 떨면서 걱정을 금할 수 없었다. 낮과 달리 눈에 보이는 것이 없기 때문에 귀에 들리는 위험에 현혹되었음. <나는 마침내 이제 도(道)를 깨달았도다! 마음을 차분히 다스린 사람에게는 귀와 눈이 누를 끼치지 못하지만, 제 귀와 눈만 믿는 사람에게는 보고 듣는 것이 자세하면 할수록 병폐가 되는 법이다>. <나는 ∼ 법이다> 글쓴이의 깨달음이 직접적으로 드러남. 귀와 눈만을 믿는 것, 즉 외물에 현혹되는 것을 경계해야 함. 방금 내 마부가 말에게 발을 밟혔으므로, 뒤따라오는 수레에 그를 태웠다. 그리고 나서 말의 굴레를 풀어 주고 말을 강물에 둥둥 뜨게 한 채로, 두 무릎을 바짝 오그리고 발을 모두어 말 안장 위에 앉았다. 한번 추락했다 하면 바로 강이다. <나는 강을 대지처럼 여기고, 강을 내 옷처럼 여기고, 강을 내 몸처럼 여기고, 강을 내 성정(性情)처럼 여기었다. 타고난 본성 그리하여 마음속으로 한번 추락할 것을 각오하자, 나의 귓속에서 마침내 강물 소리가 없어지고 말았다>. <나는 ∼ 말았다> 강물의 흐름이나 소리와 같은 외물에 현혹되지 않고, 자신의 마음을 다스림. → 강물 소리가 사라짐. 모든 것이 마음에 달려 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그리고 무려 아홉 번이나 강을 건너는 데도 아무런 걱정이 없어, 마치 안석 위에 앉거나 누워서 지내는 듯하였다. 안석, 벽에 세워놓고 앉을 때 몸을 기대는 방석. 추락해도 위험하지 않은 곳으로 느껴짐 강물에서 보이는 것과 들리는 것에 신경 쓰지 않고, 오직 마음가짐을 다스리고자 했다. 그러자 두려움이 사라지고 편안한 마음으로 강을 건널 수 있었다 옛적에 우(禹)임금이 강을 건너는데, 황룡이 배를 등에 업는 바람에 몹시 위험하였다. 그러나 죽고 사는 문제에 대한 판단이 먼저 마음속에 분명해지자, 용이든 도마뱀붙이든 그의 앞에서는 대소(大小)를 논할 것이 못 되었다. 우임금이 남쪽 지방을 순시하며 강을 건너다가 위험에 처했는데, 오히려 태연히 웃으며, “삶이란 잠시 더부살이 하는 것이요, 죽음이란 본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용을 한낱 도마뱀처럼 여기자, 그 기세에 놀라 황룡이 달아났다고 한다. 중국 우임금의 고사를 인영하여 주장의 타당성을 강조함 전: 강을 건너는 경험을 통해 얻은 깨달음 소리와 빛깔은 나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다. 이러한 외부의 사물이 항상 귀와 눈에 누를 끼쳐서, 사람이 올바르게 보고 듣는 것을 이와 같이 그르치게 하는 것이다. 외물에 현혹되지 않고 마음을 다스려야 함. 그런데 하물며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강을 건너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할 뿐 아니라, 보고 듣는 것이 수시로 병폐가 됨에랴! 강물을 건너면서 얻은 깨달음이 인생에 대한 도(道)로 확장됨. 나는 장차 나의 산중으로 돌아가 대문 앞 계곡의 물소리를 다시 들으며 이와 같은 깨달음을 검증하고, 아울러 처신에 능란하여 제 귀와 눈의 총명함만 믿는 사람들에게도 경고하련다. 글쓴이가 이 글을 쓴 이유 결: 외물에 현혹되지 않는 올바른 삶의 자세 ​ 정리하기 갈래 고전 수필, 한문 수필, 기행 수필 성격 체험적, 분석적, 교훈적, 설득적 주제 외부의 사물(외물)에 현혹되지 않는 삶의 자세 이목(耳目)에 구애됨이 없는 초연한 마음 마음을 다스리는 일의 중요성 ​ 특징 하룻밤에 강을 아홉 번 건넌 경험을 통해 깨달은 바를 적은 글로 글쓴이의 경험과 깨달음이 잘 드러나 있다.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뒷받침함. 치밀한 관찰력으로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사색적이고 관조적인 태도를 보임. ​ 활동하기 문제 블로그 누구에게나 열려 있지만 파일은 글 남기면 안내드립니다 인쇄

수능특강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

반응형

문학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

수능특강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선생, 문분선입니다.

얼마 전에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제 글을 그대로

베껴서 카페에 턱 하니 올려놓고, 그래도 양심은

있었는지 출처만 남겨 놓았더라고요.

기분이 매우 안 좋았습니다.

제가 가르치는 학생이 그것을 보고 지우라고

카페에 회원을 가입해서 글도 썼는데 관심조차

없나 보더라고요.

글을 잘 쓰든 못 쓰든 많은 노력이 들어가는데

그렇게 그냥 홀랑 자신의 사이트에다가

올리는 사람들 때문에 글을 쓰고 싶은 생각이

확 없어지더라고요.

솔직히 제 자료로 공부를 하시든, 수업 준비를

하시든 활용하시라고 제 블로그는 복사 방지도

해놓지 않았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을 겪고 보니, 최소한의 방지

장치는 필요한 것 같아서 마우스 우클릭을

막아놨습니다. 뭐 그래도 여전히 복사할

사람들은 하겠지만…….

여담은 여기까지 하고 오늘 분석할 작품은

올해 수능특강에 수록된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입니다.

제목인 ‘일야구도하기’는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넌 기록이라는 의미입니다.

수필인 이 작품은 연암 박지원이 중국에서 강을

건너는 체험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화자는 낮에 강을 보고, 어마어마한 물살에

두려움을 느끼지요.

그런데 밤에 강에 가니 어마어마한 물소리가

들리는 것을 체험합니다.

그리고 깨달음을 얻지요.

감각 기관은 사람의 마음 상태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서 수시로 변하니

사물의 본질을 파악할 수 없다는 깨달음이지요.

그리고 밤에 강을 아홉 번 건넜으나,

이러한 깨달음을 갖고 마음을 다스려서

서술자는 편한 마음으로 강을 건너게 됩니다.

정리하면, 외부 요인에 따라 변하는 감각 기관을

믿지 말고, 마음을 잘 다스려야 사물의 본질을

알 수 있다는 깨달음을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편집과 수정이 가능한 문서 파일 형태의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literatureidea

핵심 정리

갈래: 한문 수필, 기행 수필

성격: 체험적, 교훈적, 사색적, 분석적

구성: 기승전결의 4단 구성

주제: 외적 감각에 흔들리지 않고 마음을 다스리는 자세의 중요성

특징: 감각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대상의 역동성을 드러냄

비유적 표현을 통해 자연물에 대한 느낌을 드러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깨달은 바를 드러냄

깊은 사색과 예리한 관찰력으로 삶의 중요한 자세와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봄

적절한 예시와 고사 인용으로 설득력 강화

구성:

•기: 마음 상태에 따라 물소리가 다르게 들림.

•승: 낮과 밤의 물소리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전: 감각의 지각에 의지하지 않는 마음가짐을 통해 사물의 본질을 인식할 수 있음.

•결: 외물에 현혹되지 않는 태도의 중요성과 세상 사람들에 대한 경계

해제

이 작품은 연암 박지원의 청나라 여행기인 『열하일기(熱河日記)』 중 ‘산장잡기(山莊雜記)’‘산장 잡기(山莊雜記)’에 수록된 글로, 강물과 관련된 경험을 통해 외부의 사물에 대한 감각과 마음의 상관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목인 ‘일야구도하기’는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넌 기록’이라는 뜻으로, 글쓴이는 강을 건너는 것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은 감각과 외물에 현혹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사물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눈과 귀와 같은 감각 기관에 의지하여 세상을 바라보지 않고 마음을 다스리며 사물을 이성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상세 설명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_1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_2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해설_3

반응형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전문/줄거리/해설

일야구도하기(박지원) 줄거리

1)

강물이 산과 산 사이로 흘러나와 급한 경사와 바위 등의 굴곡에 의해 부딪혀 울부짖는 듯하고 전차 만 대가 굴러가는 것처럼 큰 소리를 낸다. 사람들은 이것을 설명하여 이곳이 옛날의 전쟁터였기 때문에 그런 소리가 난다고 한다. 그러나 소리는 듣는 이의 마음가짐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들릴 수 있다. 자신이 옛날에 산속의 집에 누워 있자니 마음이 슬플 때, 기쁠 때, 화가 날 때 들려오는 소리가 모두 다르다고 하였다.

사람들이 장마 진 요하(遼河)를 건널 때에 기도하듯이 하늘을 쳐다보고 건너는 것은 물을 보면 어지러워 굴러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사람들은 요하가 물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요하가 평야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이라 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낮에만 건너므로 눈에 보이는 거친 파도 때문에 소리가 귀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밤에 요하를 건너면 소리가 크게 들리는 것은 눈에 거친 파도가 보이지 않아 귀로 위협적인 소리만 듣기 때문이다.

외물에 현혹되지 않고 마음을 평정하면 사나운 강물에도 익숙해짐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아홉 번을 건너도 걱정 없이 건널 수 있었다.

우리의 감각 기관은 외물에 영향을 받으며, 그러한 상태에서는 사물의 정확한 실체를 살필 수가 없다. 그러한 인식의 허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감각 기관과 그것에 의해 움직이는 감정에 휩쓸리지 말아야 한다.

*수필임을 염두해 두시고 읽어주세요

2)**

1. 눈앞에 펼쳐진 강물 소리 묘사. 강물 소리는 어떻게 듣느냐에 달려 있다. (현재)

2. 연암협에서 들은 다양한 시냇물 소리 경험. 이 모든 소리는 올바른 들은 것이 아니다. 마음속에 미리 정해놓은 생각에 따라 소리가 들었을 뿐이다. (과거)

3. 지금 나는 한밤중에 강을 아홉 번 건넜다. (현재)

4. 요동에 들어가지 못한 한여름의 대낮에 흙탕물이 산더미처럼 밀려오는 큰 강을 건넜다. 곧 빠져죽을 위험함에 처했어도 강물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눈이 위험한 데만 쏠려 귀로는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과거)

5. 지금 밤중에 강물을 건너므로 눈으로 위험한 광경이 보이는 대신, 위험함이 듣는 데로만 쏠렸다. 명심(冥心)자는 귀와 눈이 폐가 되지 않으나 귀와 눈만을 의지하는 사람은 보고 듣는 것이 자세할수록 병통이 됨을 깨달았다. (현재)

6. 손수 말의 고삐를 풀어 강으로 땅을 삼고 성정을 삼을 것을 생각하니 강물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현재)

7. 우임금이 강을 건널 때 누런 용이 배를 등에 얹어 위험해졌다. 그러나 사생(死生)의 마음을 정하자 용이든 지렁이든 아무 문제가 되지 않았다. (과거의 고사)

8. 외물인 소리와 색이 눈과 귀에 폐를 일으켜 보고 듣는 올바름을 잃어버리게 한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일은 그 위험함이 강을 건너는 일보다 훨씬 심해서 보고 듣는 것이 수시로 병폐가 된다. 연암 골짝으로 돌아가 내 생각을 검증하고 자기 몸 챙기는데 약삭빠르면서 자기의 총명함을 믿는 자들에게 경고하련다. (현재)

*’현재’ 표시는 작자가 글을 체험 직후에 적었다고 가정했을 때 기준입니다.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박지원)의 핵심 정리

* 갈래 : 한문 수필, 기행 수필

* 성격 : 체험적, 사색적, 분석적, 교훈적

* 제재 :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넌 체험

* 중심 화제 : 강물을 건너는 위험함과 그 극복

* 주제

① 외물(外物)에 현혹되지 않는 삶의 자세

② 이목(耳目)에 구애됨이 없는 초연한 마음

③ 마음을 다스리는 일의 중요성

* 특징

① 구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결론을 이끌어 냄.

② 치밀하고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봄.

* 출전 : “열하일기(熱河日記)” 중 ‘심세편(審勢篇)’

이해와 감상

“일야구도하기”는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에 다녀온 경험을 쓴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실려 있는 글로, 여정과 견문을 기록한 기행 수필이다. 여기에서 글쓴이는 단순히 여행의 경험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여행의 체험을 통해 사색하고 깨달은 바를 기록했다. 함께 여행을 한 이들과 같은 것을 보고 같은 체험을 했음에도 글쓴이만이 새로운 것을 깨달을 수 있는 이유는 글쓴이의 독특하고 개성적인 사고 때문이다.

이 글은 남성적인 문체, 산만해 보이지만 내적 질서가 정연한 구성, 물의 흐름이나 소리를 생생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적이다.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추상적인 깨달음을 전하고 있어 구체적인 경험이나 묘사만 있고 깨달음이 없는 허식적인 글이나, 구체적인 경험 없이 깨달음만을 전하는 관념적인 글에 비해 교훈적이며 설득력이 강하다.

우리의 감관은 외물에 의하여 지배적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물의 정확한 실체를 살필 수가 없다. 이러한 인식의 허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감관과 그것에 의하여 움직이는 감정과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 “일야구도하기”의 요지이다.

이 글에는 큰 강물을 건너면서 겁을 먹게 되는 것은 강물의 흐름이나 소리만을 염두에 두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 잘 그려져 있다. 박지원은 시내를 건너며 귀에 들려오는 물소리가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이를 통하여 인식의 허실을 예리하게 지적하고 있다.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도달하는 방법은 외계의 영향을 배제한 순수한 이성적 판단에 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어떻게 살아가야 진실한 삶을 살 수 있는가?’ 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글쓴이 나름의 답도 구하고 있다.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눈과 귀를 통해 지각된 외물(外物)에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하며, 사물을 이성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깨달음이 그것이다. 글쓴이는 이를 통해 외물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사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인생은 시내를 건너는 것보다 더 크고, 더 험한 강을 건너가는 것과 같으므로, 자신의 몸을 닦고 자신의 총명함에 의거하여야 한다고 하여, 이러한 감정을 배제한 이성적인 인식을 궁극적으로는 삶을 영위하는 데까지 확충하여 이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설**

경험은 작가의 주장을 입증해주는 훌륭한 사례로서 기능한다. 하지만 순전한 개인적 체험은 전거와 용사에 바탕을 둔 글쓰기를 했던 옛 지식인들에게는 글의 권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 점을 고려해서인지, 적절한 지점에 우임금에 관한 전거(典據)를 들어 자칫 약화될 수도 있는 글의 신뢰성과 권위를 보강했다. 첫머리의 강물에 대한 묘사는 눈앞에서 보듯 생생한데다 반복법을 구사함으로써 기세가 강하고 이미지가 응축되는 효과를 준다. 무엇보다 이 작품이 고금을 막론하고 높게 평가된 데에는 인식론적이고 철학적인 주제의식에 있다. “일야구도하기”는 동일한 현상이나 사물도 듣거나 보는 사람의 심리 상태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말한다.

“일야구도하기”에서는 일차적으로 보고 듣는 올바름을 마비시키는 외물, 즉 소리와 색깔이 위험함의 실체다. 이는 인식론 문제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간 논의를 펼친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은 그 위험하기가 강을 건너는 일보다 더 심할 뿐만 아니라, 보고 듣는 것이 수시로 병폐가 된다는 것이다. ‘위험함’이라는 화두가 인식론 차원에서 현실의 문제로 나아간다. “일야구도하기”가 표면적으로는 사물을 참되게 인식하는 자세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실제로는 대단히 현실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일야구도하기”에서 위험함은 강물 자체에 있지 않다. 자신의 눈과 귀만을 의지하는 것이 진짜 위험함이다. 사물은 본디 정해진 색이 없다. 다만 내가 눈으로 먼저 정해 버리기에 혼돈과 의심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눈과 귀에 의존함으로써 생기는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

**줄거리 2)와 해설은 논문 “맥락으로 본 <일야구도하기>의 구성 전략 (맥락으로 본 <一夜九渡河記>의 구성 전략)”을 참고했음을 밝힙니다.

****”박지원-일야구도하기”는 조선 후기에 쓰여진 작품으로 원문이 한문입니다. 그 점을 염두해두시고 읽으시길 바랍니다!!****

***전문은 아래 pdf에 있습니다!***

일야구도하기 전문.pdf 0.07MB

일야구도하기 – 박지원

반응형

1. 본문

하수는 두 산 틈에서 나와 돌과 부딪쳐 싸우며 그 놀란 파도와 성난 물머리와 우는 여울과 노한 물결과 슬픈 곡조와 원망하는 소리가 굽이쳐 돌면서, 우는 듯, 소리치는 듯, 바쁘게 호령하는 듯, 항상 장성을 깨뜨릴 형세가 있어, 전차(戰車) 만승(萬乘)과 전기(戰騎) 만대(萬隊)나 전포(戰砲) 만 가(萬架)와 전고(戰鼓) 만 좌(萬座)로서는 그 무너뜨리고 내뿜는 소리를 족히 형용할 수 없을 것이다. 모래 위에 큰 돌은 흘연(屹然)히 떨어져 섰고, 강 언덕에 버드나무는 어둡고 컴컴하여 물 지킴과 하수 귀신이 다투어 나와서 사람을 놀리는 듯한데 좌우의 교리가 붙들려고 애쓰는 듯싶었다. 혹은 말하기를,

“여기는 옛 전쟁터이므로 강물이 저같이 우는 거야.”

하지만 이는 그런 것이 아니니, 강물 소리는 듣기 여하에 달렸을 것이다.

▶강물의 기세와 마음가짐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 물소리

산중의 내 집 문 앞에는 큰 시내가 있어 매양 여름철이 되어 큰비가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항상 거기(車騎)와 포고(砲鼓)의 소리를 듣게 되어 드디어 귀에 젖어 버렸다.

내가 일찍이 문을 닫고 누워서 소리 종류를 비교해 보니, 깊은 소나무가 퉁소 소리를 내는 것은 듣는 이가 청아한 탓이요,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분노한 탓이요, 뭇 개구리가 다투어 우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교만한 탓이요, 대피리가 수없이 우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노한 탓이요, 천둥과 우레가 급한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놀란 탓이요, 찻물이 끓는 듯이 문무(文武)가 겸한 듯한 것은 듣는 이가 취미로운 탓이요, 거문고가 궁(宮)과 우(羽)에 맞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의심나는 탓이니, 모두 바르게 듣지 못하고 특히 흉중에 먹은 뜻을 가지고 귀에 들리는 대로 소리를 만든 것이다.

▶마음속의 뜻에 따라 달라지는 물소리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 황화(黃花) · 진천(鎭川) 등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白河)가 되었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下流)였다. 내가 아직 요동에 들어오지 못했을 때 바야흐로 한여름이라, 뜨거운 볕 밑을 가노라니 홀연 큰 강이 앞에 당하는데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 끝을 볼 수 없으니, 이것은 대개 천 리 밖에서 폭우(暴雨)가 온 것이다. 물을 건널 때는 사람들이 모두 머리를 우러러 하늘을 보는데, 나는 생각하기에 사람들이 머리를 들고 쳐다보는 것은 하늘에 묵도(默禱)하는 것인 줄 알았더니, 나중에 알고 보니 물을 건너는 사람들이 물이 돌아 탕탕히 흐르는 것을 보면, 자기 몸은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고, 눈은 강물과 함께 따라 내려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현기가 나면서 물에 빠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머리를 우러러보는 것은 하늘에 비는 것이 아니라, 물을 피하여 보지 않으려 함이다. 또한 어느 겨를에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으랴.

그 위험함이 이와 같으니, 물소리도 듣지 못하고 모두 말하기를,

“요동 들은 평평하고 넓기 때문에 물소리가 크게 울지 않는 거야.”

▶낮에 사람들이 고개를 들고 물을 건너는 이유

하지만 이것은 물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요하(遼河)가 일찍이 울지 않는 것이 아니라 특히 밤에 건너 보지 않은 때문이니, 낮에는 눈으로 물을 볼 수 있으므로 눈이 오로지 위험한 데만 보느라고 도리어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하는 판인데, 다시 들리는 소리가 있을 것인가. 지금 나는 밤중에 물을 건너는지라 눈으로는 위험한 것을 볼 수 없으니, 위험은 오로지 듣는 데만 있어 바야흐로 귀가 무서워하여 걱정을 이기지 못하는 것이다.

▶물소리가 들리지 않는 이유

나는 이제야 도(道)를 알았도다. 마음이 어두운 자는 귀와 눈이 누(累)가 되지 않고, 귀와 눈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혀져서 병이 되는 것이다.

이제 내 마부가 발을 말굽에 밟혀서 뒤차에 실리었으므로, 나는 드디어 혼자 고삐를 늦추어 강에 띄우고 무릎을 구부려 발을 모으고 안장 위에 앉았으니, 한번 떨어지면 강이나 물로 땅을 삼고, 물로 옷을 삼으며, 물로 몸을 삼고, 물로 성정을 삼으니, 이제야 내 마음은 한번 떨어질 것을 판단한 터이므로 내 귓속에 강물 소리가 없어지고 무릇 아홉 번 건너는데도 걱정이 없어 의자 위에서 좌와(坐臥)하고 기거(起居)하는 것 같았다.

▶깨달음을 얻은 후의 초연함

옛날 우(禹)는 강을 건너는데, 황룡(黃龍)이 배를 등으로 떠받치니 지극히 위험했으나 사생의 판단이 먼저 마음속에 밝고 보니, 용이거나 지렁이이거나 크거나 작거나가 족히 관계될 바 없었다. 소리와 빛은 외물(外物)이니 외물이 항상 이목에 누가 되어 사람으로 하여금 똑바로 보고 듣는 것을 잃게 하는 것이 이 같거늘, 하물며 인생이 세상을 지나는 데 그 험하고 위태로운 것이 강물보다 심하고, 보고 듣는 것이 문득 병이 되는 것임에랴.

▶올바른 인생의 태도

나는 또 우리 산중으로 돌아가 다시 앞 시냇물 소리를 들으면서 이것을 증험해 보고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에게 경고하는 바이다.

▶세인에 대한 경계

2. 핵심 정리

• 갈래 : 고전 수필, 기행문

• 성격 : 체험적, 사색적, 분석적, 교훈적

• 제재 :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넌 체험

• 주제 : 외물(外物)에 현혹되지 않는 삶의 자세, 이목(耳目)에 구애됨이 없는 초연한 마음, 마음을 다스리는 일의 중요성

• 특징 :

① 구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결론을 이끌어 냄.

② 예리한 관찰로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봄.

3. 작품 해설 1

글쓴이는 이 글에서 자신의 도강(渡江) 체험과 평소 관찰을 바탕으로 깊은 인생의 진리를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고 있다. 묘사와 서사를 이용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다시 그것을 인간의 내적 세계와 연결 짓는 방식은 주제를 매우 뚜렷하게 부각시킨다. 일상생활에서 눈과 귀로 보고 듣는 가운데 현상에만 얽매여 진실을 깨닫지 못하고 허우적대는 현대인에게 귀감이 될 만한 글이다.

– 지학사 T-Solution 자료실 참고

4. 작품 해설 2

‘일야구도하기’는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에 다녀온 경험을 쓴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실려 있는 글로, 여정과 견문을 기록한 기행 수필이다. 여기에서 글쓴이는 단순히 여행의 경험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여행의 체험을 통해 사색하고 깨달은 바를 기록했다. 함께 여행을 한 이들과 같은 것을 보고 같은 체험을 했음에도 글쓴이만이 새로운 것을 깨달을 수 있는 이유는 글쓴이의 독특하고 개성적인 사고 때문이다.

이 글은 남성적인 문체, 산만해 보이지만 내적 질서가 정연한 구성, 물의 흐름이나 소리를 생생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적이다.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추상적인 깨달음을 전하고 있어 구체적인 경험이나 묘사만 있고 깨달음이 없는 허식적인 글이나, 구체적인 경험 없이 깨달음만을 전하는 관념적인 글에 비해 교훈적이며 설득력이 강하다.

이 글에는 큰 강물을 건너면서 겁을 먹게 되는 것은 강물의 흐름이나 소리만을 염두에 두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 잘 그려져 있다. 그리고 ‘어떻게 살아가야 진실한 삶을 살 수 있는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글쓴이 나름의 답도 구하고 있다.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눈과 귀를 통해 지각된 외물(外物)에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하며, 사물을 이성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깨달음이 그것이다. 글쓴이는 이를 통해 외물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사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 천재교육, 해법 문학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밤이 되어야 강물이 흐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유

밤에 물소리를 듣는 사람은 청각적으로 인지되는 강을 낮에 본 강물에 대한 기억과 연관시켜 머릿속에서 연상을 하게 된다. 낮에 그 두려웠던 장면을 연상은 하되 구체적으로 그 강물이 눈앞에 보이지 않으므로 더욱 물소리에 집중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밤이 되어야만 물소리에 집중하게 된다는 것인데, 이는 인간의 관심이 감각적으로 다가오는 외적인 사물〔외물(外物)〕에 의존하게 된다는 것을 말하기 위한 글쓴이의 의도이다.

2. ‘일야구도하기’의 전체 구성(해냄에듀 교과서 참고)

[기] 강물이 산과 산 사이로 흘러나와 급한 경사와 바위 등의 굴곡에 의해 부딪혀 울부짖는 듯하고 전차 만 대가 굴러가는 것처럼 큰 소리를 낸다. 사람들은 이곳이 옛날에 전쟁터였기 때문에 그런 소리가 난다고 하지만, 소리는 듣는 이의 마음가짐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들릴 수 있다.

→ 듣는 이의 마음가짐에 따라 강물 소리가 달라짐.

[승] 낮에 요하(遼河)를 건널 때 물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은 눈에 보이는 거친 파도 때문에 소리가 귀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밤에 요하를 건널 때 소리가 크게 들리는 것은 눈에 거친 파도가 보이지 않아 귀로 위협적인 소리만 듣기 때문이다.

→ 외물(外物)에 현혹되기 쉬운 인간들

[전] 외물에 현혹되지 않고 마음을 평정하면 사나운 강물에도 익숙해짐을 깨닫게 된다.

→ 글쓴이가 깨달은 진리

[결] 우리의 감각 기관은 외물에 영향을 받으며, 그러한 상태에서는 사물의 정확한 실체를 살필 수가 없다. 그러한 인식의 허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감각 기관과 그것에 의해 움직이는 감정에 휩쓸리지 말아야 한다.

→ 인생의 바른 태도와 세인(世人)들에 대한 경계

3. ‘일야구도하기’에서 보여 주는 바람직한 인간상(천재교육 참고)

‘일야구도하기’에는 서로 상반되는 인간의 모습이 나타난다. 첫 번째 인간형은 외물(外物)에 매인 사람이다. 이들은 외적인 것에 이끌려 본질적인 것을 알지 못하는 유형으로,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이다. 이들과 대조를 이루는 두 번째 인간형은 외물에 초연한 사람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인물은 외물에 구애받지 않고 본질적인 것을 추구하는 ‘우(禹)’와 같은 사람으로, 글쓴이가 추구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이라고 할 수 있다.

4. “열하일기”(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고)

26권 10책. 필사본.

간본(刊本)으로는 1901년 김택영(金澤榮)이 ≪연암집 燕巖集≫ 원집에 이어 간행한 동 속집 권1·2(고활자본)에 들어 있고, 1911년 광문회(光文會)에서 A5판 286면의 활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32년 박영철(朴榮喆)이 간행한 신활자본 ≪연암집≫ 별집 권11∼15에도 전편이 수록되어 있다. 보유편도 있고 1956년 자유중국의 대만대학(臺灣大學)에서 동 대학 소장본을 영인한 것도 있다.

1780년(정조 4) 저자가 청나라 건륭제(乾隆帝)의 칠순연(七旬宴)을 축하하기 위하여 사행하는 삼종형 박명원(朴明源)을 수행하여 청나라 고종의 피서지인 열하를 여행하고 돌아와서, 청조치하의 북중국과 남만주일대를 견문하고 그 곳 문인·명사들과의 교유 및 문물제도를 접한 결과를 소상하게 기록한 연행일기이다.

각 권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강록>은 압록강으로부터 랴오양(遼陽)에 이르는 15일간의 기록으로 성제(城制)와 벽돌 사용 등의 이용후생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성경잡지>는 십리하(十里河)에서 소흑산(小黑山)에 이르는 5일간에 겪은 일을 필담(筆談) 중심으로 엮고 있다.

<일신수필>은 신광녕(新廣寧)으로부터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르는 병참지(兵站地)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관내정사>는 산하이관에서 연경(燕京)에 이르는 기록이다. 특히 백이(伯夷)·숙제(叔齊)에 대한 이야기와 <호질 虎叱>이 실려 있는 것이 특색이다.

<막북행정록>은 연경에서 열하에 이르는 5일간의 기록이다. <태학유관록>은 열하의 태학(太學)에서 머무르며 중국학자들과 지전설(地轉說)에 관하여 토론한 내용이 들어 있다. <구외이문>은 고북구(古北口) 밖에서 들은 60여 종의 이야기를 적은 것이다.

<환연도중록>은 열하에서 연경으로 다시 돌아오는 6일간의 기록으로 교통제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금료소초>는 의술(醫術)에 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옥갑야화>는 역관들의 신용문제를 이야기하면서 허생(許生)의 행적을 소개하고 있다. 뒷날에 이 이야기를 <허생전>이라 하여 독립적인 작품으로 거론하였다.

<황도기략>은 황성(皇城)의 문물·제도 약 38종을 기록한 것이다. <알성퇴술>은 순천부학(順天府學)에서 조선관(朝鮮館)에 이르는 동안의 견문을 기록하고 있다. <앙엽기>는 홍인사(弘仁寺)에서 이마두총(利瑪竇塚)에 이르는 주요명소 20군데를 기술한 것이다.

<경개록>은 열하의 태학에서 6일간 있으면서 중국학자와 대화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황교문답>은 당시 세계정세를 논하면서 각 종족과 종교에 대하여 소견을 밝혀놓은 기록이다. <행재잡록>은 당시 청나라 고종의 행재소(行在所)에서 견문한 바를 적은 것이다. 그 중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취한 정책을 부분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반선시말>은 청나라 고종이 반선(班禪)에게 취한 정책을 논한 글이다. <희본명목>은 다른 본에서는 <산장잡기> 끝부분에 있는 것으로 청나라 고종의 만수절(萬壽節)에 행하는 연극놀이의 대본과 종류를 기록한 것이다. <찰십륜포>는 열하에서 본 반선에 대한 기록이다.

<망양록>과 <심세편>은 각각 중국학자와의 음악에 대한 토론내용과 조선의 오망(五妄), 중국의 삼난(三難)에 대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곡정필담>은 주로 천문에 대한 기록이다. <동란섭필>은 가악(歌樂)에 대한 잡록이며, <산장잡기>는 열하산장에서의 견문을 적은 것이다.

<환희기>와 <피서록>은 각각 중국 요술과 열하산장에서 주로 시문비평을 가한 것이 주요내용이다. ≪열하일기≫는 박제가(朴齊家)의 ≪북학의 北學議≫와 함께 “한 솜씨에서 나온 것 같다(如出一手).”고 한 평을 들었다.

주로 북학을 주장하는 내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고, 당시에 정조로부터 이 책의 문체가 순정(醇正)하지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으나 많은 지식층에게 회자된 듯하다.

6. 작가 소개

박지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일야구도하기 – 박지원.pdf 0.20MB

728×90

반응형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728×90

반응형

728×170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하수(河水)는 두 산 틈에서 나와 돌과 부딪쳐 싸우며, 그 놀란 파도와 성난 물머리와 우는 여울과 노한 물결과 슬픈 곡조와 원망하는 소리가 굽이쳐 돌면서, 우는 듯, 소리치는 듯, 바쁘게 호령하는 듯, 항상 장성을 깨뜨릴 형세가 있어, 전차(戰車) 만승(萬乘)과 전기(戰騎) 만대(萬隊)나 전포(戰砲) 만가(萬架)와 전고(戰鼓) 만좌(滿座)로써는 그 무너뜨리고 내뿜는 소리를 족히 형용할 수 없을 것이다. 모래 위에 큰 돌은 홀연히 떨어져 섰고, 강 언덕에 버드나무는 어둡고 컴컴하여 물지킴과 하수 귀신이 다투어 나와서 사람을 놀리는 듯한데, 좌우의 교리(蛟 )가 붙들려고 애쓰는 듯싶었다.

혹은 말하기를,

“여기는 옛 전쟁터이므로 강물이 저같이 우는 거야.”

하지만 이는 그런 것이 아니니, 강물 소리는 듣기 여하에 달렸을 것이다.

산중의 내 집 문 앞에는 큰 시내가 있어 매양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항상 차기(車騎)와 포고(砲鼓)의 소리를 듣게 되어 드디어 귀에 젖어 버렸다. 내가 일찍이 문을 닫고 누워서 소리 종류를 비교해 보니, 깊은 소나무가 퉁소 소리를 내는 것은 듣는 이가 청아(淸雅)한 탓이요,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분노한 탓이요, 뭇 개구리가 다투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교만한 탓이요, 천둥과 우 레가 급한 것은 듣는 이가 놀란 탓이요, 찻물이 끓는 듯이 문무(文武)가 겸한 것은 듣는 이가 취미로운 탓이요, 거문고가 궁우(宮羽)에 맞는 것은 듣는 이가 슬픈 탓이요,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의심 나는 탓이니, 모두 바르게 듣지 못하고 특히 흉중에 먹은 뜻을 가지고 귀에 들리는 대로 소리를 만든 것이다.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황화(黃花)·진천(鎭川) 등의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白河)가 되었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下流)였다.

내가 아직 요동에 들어오지 못했을 때 바야흐로 한여름이라, 뜨거운 볕 밑을 가노라니 홀연 큰 강이 앞에 당하는데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 끝을 볼 수 없으니, 이것은 대개 천리 밖에서 폭우(暴雨)가 온 것이다. 물을 건널 때는 사람들이 모두 머리를 우러러 하늘을 보는데, 나는 생각하기에 사람들이 머리를 들고 쳐다보는 것은 하늘에 묵도(默禱)하는 것인 줄 알았더니, 나중에 알고 보니 물을 건너는 사람들이 물이 돌아 탕탕히 흐르는 것을 보면, 자기 몸은 물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고 눈은 강물과 함께 따라 내려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현기(眩氣)가 나면서 물에 빠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머리를 우러러보는 것은 하늘에 비는 것이 아니라, 물을 피하여 보지 않으려 함이다. 또한 어느 겨를에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으랴.

그 위험함이 이와 같으니, 물 소리도 듣지 못하고 모두 말하기를,

“요동 들은 평평하고 넓기 때문에 물 소리가 크게 울지 않는 거야.”

하지만 이것은 물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요하(遼河)가 일찍이 울지 않는 것이 아니라 특히 밤에 건너 보지 않은 때문이니, 낮에는 눈으로 물을 볼 수 있으므로 눈이 오로지 위험한 데만 보느라고 도리어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하는 판인데, 다시 들리는 소리가 있을 것이다. 지금 나는 밤중에 물을 건너는지라 눈으로는 위험한 것을 볼 수 없으니, 위험은 오로지 듣는 데만 있어 바야흐로 귀가 무서워하여 걱정을 이기지 못하는 것이다.

나는 이제야 도(道)를 알았도다. 마음이 어두운 자는 이목이 누(累)가 되지 않고, 이목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혀져서 병이 되는 것이다. 이제 내 마부가 발을 말굽을 밝혀서 뒷차에 실리었으므로, 나는 드디어 혼자 고삐를 늦추어 강에 띄우고, 무릎을 구부려 발을 모으고 안장 위에 앉았으니, 한번 떨어지면 강이나 물로 땅을 삼고, 물로 옷을 삼으며 물로 몸을 삼고, 물로 성정을 삼으니, 이제야 내 마음은 한번 떨어질 것을 판단한 터이므로, 내 귓속에 강물 소리가 없어지고, 무릇 아홉 번 건너는데도 걱정이 없어 의자 위에서 좌와(坐臥)하고 기거(起居)하는 것 같았다.

옛날 우(禹)는 강을 건너는데, 황룡(黃龍)이 배를 등으로 져서 지극히 위험했으나 사생(死生)의 판단이 먼저 마음 속에 밝고 보니, 용이거나 지렁이거나, 크거나 작거나 족히 관계될 바 없었다. 소리와 빛은 외물(外物)이니 외물이 항상 이목에 누가 되어 사람으로 하여금 똑바로 보고 듣는 것을 잃게 하는 것이 이 같거든, 하물며 인생이 세상을 지나는 데 그 험하고 위태로운 것이 강물보다 심하고, 보고 듣는 것이 문득 병이 되는 것임에랴.

나는 또 우리 산중으로 돌아가 다시 앞 시냇물 소리를 들으면서 이것을 증험해 보고,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에게 경고하는 바이다. (민족문화추진회옮김)

요점 정리

연대 : 조선 영조때

작자 : 박지원

갈래 : 중수필, 기행문

성격 : 비유적, 교훈적, 사색적, 분석적, 묘사적

문체 : 남성적인 기상을 발휘

짜임 : ‘기·승·전·결’의 4단 구성

표현 :

① 치밀한 관찰력으로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본 사색적이고 관조적인 글이다.

② 체험의 적절한 예시 및 반론으로 자기의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③ 추상적·개념적인 서술을 피하고, 구체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결론을 이끌어 낸, 설득력이 있는 글이다

제재 : 물소리

주제 : 외물(外物)에 현혹되지 않는 삶의 자세, 이목(耳目)에 구애됨이 없는 초연한 마음, 마음을 다스리는 일의 중요성

구성 :

기 물소리와 듣는 이의 마음가짐 승 흉중의 뜻에 따라 달리 들림 전 강을 건너는 자세와 내가 깨달은 진리 결 인생의 태도와 세인들에 대한 경계

줄거리 : 시내가 산과 산 사이로 흘러나와 급한 경사와 바위 등의 굴곡에 의하여 부딪힌 물결이 울부짖는 듯하게 들리기도 하고 전차 만대가 굴러가는 것처럼 큰소리를 낸다. 사람들은 이것을 설명하여 이곳이 옛날의 전쟁터였기 때문에 그런 소리가 난다고 한다. 그러나 소리는 듣기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자신이 옛날에 산속의 집에 누워 있자니 마음이 슬플 때, 기쁠 때, 화가 날 때 들려오는 소리가 모두 다르다고 하였다.

사람들이 장마진 요하(遼河)를 건널 때에 기도하듯이 하늘을 쳐다보고 건너는 것은 물을 보면 어지러워 굴러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사람들은 요하가 물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요하가 평야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이라 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낮에만 건너므로 눈에 보이는 거친 파도 때문에 소리가 귀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밤에 요하를 건너면 소리가 크게 들리는 것은 눈에 거친 파도가 보이지 않아 귀로 위협적인 소리만 듣기 때문이다. 낮에도 삐끗하면 물로 굴러 떨어질 위태로운 자세로 강을 건너니, 위태로운 상황에 긴장하기 때문에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자주 그 강을 건너다니니 익숙하여져서 강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져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우리의 감관은 외물에 의하여 지배적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물의 정확한 실체를 살필 수가 없다. 이러한 인식의 허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감관과 그것에 의하여 움직이는 감정과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 〈일야구도하기〉의 요지이다.

출전 : 열하일기 중 ‘산장잡기(山莊雜記)’

내용 연구

일야구도하기 : 하룻밤 사이에 아홉 번 강을 건넌 기록

하수(河水)는 두 산 틈에서 나와 돌과 부딪쳐 싸우며, 그 놀란 파도와 성난 물머리와 우는 여울과 노한 물결과 슬픈 곡조와 원망하는 소리가 굽이쳐 돌면서, 우는 듯, 소리치는 듯, 바쁘게 호령하는 듯, 항상 장성을 깨뜨릴 형세가 있어, 전차(戰車) 만승(萬乘)과 전기(戰騎) 만대(萬隊)나 전포(戰砲) 만가(萬架)와 전고(戰鼓) 만좌(滿座)로써는 그 무너뜨리고 내뿜는 소리를 족히 형용할 수 없을 것이다. 모래 위에 큰 돌은 홀연히 떨어져 섰고, 강 언덕에 버드나무는 어둡고 컴컴하여 물지킴과 하수 귀신이 다투어 나와서 사람을 놀리는 듯한데, 좌우의 교리(蛟 )가 붙들려고 애쓰는 듯싶었다.

혹은 말하기를,

“여기는 옛 전쟁터이므로 강물이 저같이 우는 거야.”

하지만 이는 그런 것이 아니니, 강물 소리는 듣기 여하에 달렸을 것이다.

– 강물의 기세와 마음 가짐에 따라 달리 들리는 물소리

산중의 내 집 문 앞에는 큰 시내가 있어 매양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항상 차기(車騎)와 포고(砲鼓)의 소리를 듣게 되어 드디어 귀에 젖어 버렸다. 내가 일찍이 문을 닫고 누워서 소리 종류를 비교해 보니, 깊은 소나무가 퉁소 소리를 내는 것은 듣는 이가 청아(淸雅)한 탓이요,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분노한 탓이요, 뭇 개구리가 다투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교만한 탓이요, 천둥과 우 레가 급한 것은 듣는 이가 놀란 탓이요, 찻물이 끓는 듯이 문무(文武)가 겸한 것은 듣는 이가 취미로운 탓이요, 거문고가 궁우(宮羽)에 맞는 것은 듣는 이가 슬픈 탓이요,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의심 나는 탓이니, 모두 바르게 듣지 못하고 특히 흉중에 먹은 뜻을 가지고 귀에 들리는 대로 소리를 만든 것이다.

– 마음 속의 뜻이 반영되는 물소리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황화(黃花)·진천(鎭川) 등의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白河)가 되었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下流)였다.

내가 아직 요동에 들어오지 못했을 때 바야흐로 한여름이라, 뜨거운 볕 밑을 가노라니 홀연 큰 강이 앞에 당하는데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 끝을 볼 수 없으니, 이것은 대개 천리 밖에서 폭우(暴雨)가 온 것이다. 물을 건널 때는 사람들이 모두 머리를 우러러 하늘을 보는데, 나는 생각하기에 사람들이 머리를 들고 쳐다보는 것은 하늘에 묵도(默禱)하는 것인 줄 알았더니, 나중에 알고 보니 물을 건너는 사람들이 물이 돌아 탕탕히 흐르는 것을 보면, 자기 몸은 물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고 눈은 강물과 함께 따라 내려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현기(眩氣)가 나면서 물에 빠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머리를 우러러보는 것은 하늘에 비는 것이 아니라, 물을 피하여 보지 않으려 함이다. 또한 어느 겨를에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으랴.

– 낮에 사람들이 고개를 들고 물을 건너는 이유

그 위험함이 이와 같으니, 물 소리도 듣지 못하고 모두 말하기를,

“요동 들은 평평하고 넓기 때문에 물 소리가 크게 울지 않는 거야.”

하지만 이것은 물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요하(遼河)가 일찍이 울지 않는 것이 아니라 특히 밤에 건너 보지 않은 때문이니, 낮에는 눈으로 물을 볼 수 있으므로 눈이 오로지 위험한 데만 보느라고 도리어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하는 판인데, 다시 들리는 소리가 있을 것이다. 지금 나는 밤중에 물을 건너는지라 눈으로는 위험한 것을 볼 수 없으니, 위험은 오로지 듣는 데만 있어 바야흐로 귀가 무서워하여 걱정을 이기지 못하는 것이다.

– 물 소리가 들리지 않는 이유

나는 이제야 도(道)를 알았도다. 마음이 어두운 자는 이목이 누(累)가 되지 않고, 이목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혀져서 병이 되는 것이다. 이제 내 마부가 발을 말굽을 밝혀서 뒷차에 실리었으므로, 나는 드디어 혼자 고삐를 늦추어 강에 띄우고, 무릎을 구부려 발을 모으고 안장 위에 앉았으니, 한번 떨어지면 강이나 물로 땅을 삼고, 물로 옷을 삼으며 물로 몸을 삼고, 물로 성정을 삼으니, 이제야 내 마음은 한번 떨어질 것을 판단한 터이므로, 내 귓속에 강물 소리가 없어지고, 무릇 아홉 번 건너는데도 걱정이 없어 의자 위에서 좌와(坐臥)하고 기거(起居)하는 것 같았다.

– 깨달음을 얻은 후의 실증

옛날 우(禹)는 강을 건너는데, 황룡(黃龍)이 배를 등으로 져서 지극히 위험했으나 사생(死生)의 판단이 먼저 마음 속에 밝고 보니, 용이거나 지렁이거나, 크거나 작거나 족히 관계될 바 없었다. 소리와 빛은 외물(外物)이니 외물이 항상 이목에 누가 되어 사람으로 하여금 똑바로 보고 듣는 것을 잃게 하는 것이 이 같거든, 하물며 인생이 세상을 지나는 데 그 험하고 위태로운 것이 강물보다 심하고, 보고 듣는 것이 문득 병이 되는 것임에랴.

– 올바른 인생의 태도

나는 또 우리 산중으로 돌아가 다시 앞 시냇물 소리를 들으면서 이것을 증험해 보고,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에게 경고하는 바이다.

– 세인에 대한 경계

장성 : 긴 성, 만리장성을 가리킴

승 : 네 필의 말이 끄는 전차를 세는 단위, 대, 차량 대수

전고 만 좌 : 전투용 북 일만 개

흘연히 : 높게 우뚝 솟아

교리 : 이무기, 용이 되려다 못되고 물 속에 산다는 여러 해 묵은 큰 구렁이

청아 : 맑고 기품이 있음

깊은 소나무가 퉁소 소리를 내는 것 : 그윽하고 맑은 소리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것 : 요란하고 불안정한 소리

뭇 개구리가 다투어 우는 것 : 겸손하지 못한 소리, 경쟁하듯 우는 소리

대피리가 수없이 우는 것 : 잦은 가락으로 치닫는 것 같은 소리

천둥과 우레가 급한 것 : 위협적인 소리

찻물이 끓는 듯이 문무가 겸한 것 : 평온하고 여유 있는 소리

거문고가 궁우에 맞는 것 : 침착하고 무겁거나, 쓸쓸하고 고요한 소리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것 : 가늘게 떠는 소리

문무 : 문무화에서 끌어 쓴 말, ‘文火’는 약하게 타는 불, ‘武火’는 활활 타는 불

새외 : 요새의 바깥. 여기서는 ‘만리장성’의 바깥’을 말한다.

백하 : 중국 음산산맥 동부에서 발원하여 천진을 지나 발해만으로 들어가는 강. 예로부터 홍수가 잦은 강으로 유명함. 유하·조하·황하·진천 등은 그 지류이다.

묵도 : 눈을 감고 말없이 마음 속으로 하는 기도

탕탕히 : 물살이 매우 세차게

현기 : 눈이 아찔하고 어지러운 기운

누 :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해가 되고 괴로움이 되는 것

좌와 : 앉거나 눕고, 즉 일상의 거동

기거 : 살아감

전차 ~ 없을 것이다 : 전쟁에 사용하는 수많은 무기가 터뜨리는 소리도 물이 흐르며 내는 소리만은 못하다. 물소리는 이 글의 소재로 마음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지닌 것이다.

깊은 소나무가 ~ 듣지 못하고 : 마음가짐에 따라서 외물에 대한 인상도 천차만별임을 예시를 통해 말하고 있다. 사물에서 ‘나’를 발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마음이 어두운 ~ 되는 것이다 : 눈과 귀를 통해 사물의 형상만을 취하는 자(=이목만을 믿는 자)는 형상에 얽매여 마음에 병이 생기지만, 눈과 귀를 통해 들어오는 사물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마음이 어두운 자)자는 마음의 평온을 유지할 수가 없다.

옛날 우는 강을 건너는데 ~ 관계될 바 없었다 : 우는 중국 하왕조의 시조, 치수 설화나 지덕 상징 설화의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이 예화도 마음 먹기에 따라 사물을 대하는 태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밝은 판단을 갖고 살아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소리와 빛은 ~ 되는 것임에랴 : 소리와 빛은 늘 눈과 귀를 통해 접촉하는 대상이므로 사람으로 하여금 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모든 외물을 접할 때 그것의 본질을 보도록 노력한다면 험난한 인생살이도 그렇게 두렵지만은 않을 것이다. 외부의 영향 때문에 쉽게 마음을 바꾸는 사람들에게 외물에 대해 현혹되지 않는 마음가짐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나는 또 ~ 경고하는 바이다 : 자신이 얻은 깨달음을 스스로의 삶에 적용하면서 자신하는 자는 내적 진실성이 없고 남을 현혹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또 다른 번역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강물은 두 산 사이에서 흘러 나와 돌에 부딪혀, 싸우는 듯 뒤틀린다. 그 성난 물결, 노한 물줄기, 구슬픈 듯 굼실거리는 물갈래와 굽이쳐 돌며 뒤말리며 부르짖으며 고함치는, 원망(怨望)하는 듯한 여울은, 노상(항상) 장성(長城 : 긴 성, 만리장성)을 뒤흔들어 쳐부술 기세(氣勢)가 있다.[그 성난 물결, 노한 물줄기 – 노상 장성들 뒤흔들어 쳐부술 기세가 있다. : 성난 듯, 노한 듯, 구슬픈 듯 구불구불하게 물결이 넘실거리는 물굽이와 굽이쳐 돌며 뒤집혀 말리려 큰 소리로 부르짖으며, 고함치는 듯, 어떻게 보면 원망이 가득 찬 듯한 힘찬 물살은 견고한 만리장성도 쓸어 버릴 세찬 힘이 있다. 의인법, 직유법, 열거법을 써서 도도한 강물의 흐름을 청각적, 시각적, 사실적, 역동적으로 묘사했다.] 전차(戰車) 만 승(萬乘 : 승은 네 필의 말이 끄는 전차를 세는 단위, 대, 차량 대수)과 전기(戰騎 : 전투 기병, 기(騎)는 말 탄 사람의 수효를 세는 단위) 만 대(萬隊 : 수많은 기마대), 전포(戰砲) 만 가(萬架)와 전고 만 좌(戰鼓 萬座 : 전쟁터에서 쓰는 수많은 북)로써도[전차 만 승과 전기 만 대, 전포 만 가와 전고 만 좌로써도 : 수많은 전투 차량과 기마대, 수많은 대포와 북을 가지고서도. 강물 소리의 요란스럽고 굉장함을 열거법, 과장법, 비교법을 써서 표현하였다.] 그 퉁탕거리며 무너져 쓰러지는 소리를 충분히 형용(形容)할 수 없을 것이다. 모래 위엔 엄청난 큰 돌이 우뚝 솟아 있고, 강 언덕엔 버드나무가 어둡고 컴컴한 가운데 서 있어서, 마치 물귀신과 하수(河水 : 냇물. 강물. 황하(黃河)의 옛 이름)의 귀신(鬼神) 들이 서로 다투어 사람을 엄포(실속 없이 호령이나 위협으로 으르는 짓.)하는 듯한데, 좌우의 이무기들이 솜씨를 시험(試驗)하여 사람을 붙들고 할퀴려고 애를 쓰는 듯하다.[좌우의 이무기들이 솜씨를 시험하여 사람을 붙들고 할퀴려고 애를 쓰는 듯하다. : 물결이 몹시 사나워 마치 여기저기서 이무기들이 꿈틀거리며 사람을 붙들고 할퀴려고 애를 쓰는 듯한 형상이다. ‘이무기’의 원관념은 ‘큰 강물’. 직유법, 과장법 사용되었다.]

어느 누구는 이 곳이 전쟁(戰爭)터였기 때문에 강물이 그렇게 운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것은 그런 때문이 아니다. 강물 소리란, 사람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강물 소리란, 사람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 강물 소리란, 그 소리를 듣는 사람의 심정이나 그 때의 태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들리는 것이다. 이 문단의 중심구로, 필자의 생각이 직서(直敍)된 곳이다.]

나의 거처(居處)는 산중(山中)에 있었는데, 바로 문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 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마냥 전차(戰車)와 기마(騎馬), 대포(大砲)와 북소리를 듣게 되어, 그것이 이미 귀에 젖어 버렸다.

나는 옛날에, 문을 닫고 누운 채 그 소리들을 구분(區分)해 본적이 있었다. 깊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바람 같은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청아(淸雅 : 맑고 우아하여 속되지 않음)한 까닭이며,[깊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바람 같은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청아한 까닭이며, : (시냇물이 흐르는 소리가) 마치 솔바람 소리처럼 들리는 것은, 그 듣는 사람이 맑고 아름다운 성품을 지닌 까닭이며. 이 같은 진술은 감정 이입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구절뿐만 아니라, 이 문단의 진술이 대체로 이 같은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흥분(興奮)한 까닭이며[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흥분한 까닭이며, : 시냇물 소리가 마치 산과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것처럼 들리는 것은, 듣는 사람의 감정이 북받쳐 있기 때문이며], 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교만(驕慢)한 까닭이며[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교만한 까닭이며, : 큰 시냇물 소리가 개구리가 우는 듯 와글거리는 소리로 들릴 때에는 듣는 사람의 마음가짐이 겸손하지 못해서 모든 것을 다투어 경쟁하는 것으로 여기는 까닭이며], 수많은 축(筑 : 거문고 비슷한 현악기)의 격한 가락인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노한 까닭이다.[수많은 축의 격한 가락인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노한 까닭이다. : 큰 시냇물 소리가 거문고 같은 많은 현악기들이 격렬한 음(音)으로 우는 듯이 구슬프게 들리는 것은, 듣는 사람 자신의 마음이 그와 같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의인법(시냇물 소리 → 축의 격한 가락)과 직유법 사용되었다.] 그리고, 우르릉쾅쾅 하는 천둥과 벼락 같은 소리는 듣는 사람이 놀란 까닭이고, 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운치(韻致 : 고아한 품위를 갖춘 멋) 있는 성격(性格)인 까닭이고[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운치 있는 성격인 까닭이고, : 시냇물 소리가 마치 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것처럼 들리는 것은 듣는 사람이 여유를 가지고 인생을 담담하게 음미할 수 있는 운치를 가졌기 때문이고], 거문고가 궁우[宮羽 : 옛날의 음계 이름. ‘궁(宮)’은 저화음(低和音)으로서 굴 속에서 우는 소 울음 같은 소리. ‘우(羽)’는 적료감을 주는 음으로서 들에서 우는 말 울음소리와 같음]에 맞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슬픈 까닭이고[거문고가 궁우에 맞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슬픈 까닭이고, : 거문고의 곡조가 전아(典雅)하고 침중(沈重)한 궁성(宮聲)과 곡조가 용장(勇壯)한 우성(羽聲)을 연주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같이 들리는 것은 듣는 이의 마음이 슬픈 까닭이고],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듯한 소리는 사람이 의심(疑心)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소리는, 올바른 소리가 아니라 다만 자기 흉중(胸中 : 마음 속. 가슴 속)에 품고 있는 뜻대로 귀에 들리는 소리를 받아들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나는 어제 하룻밤 사이에 한 강(江)을 아홉 번이나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 : 요새의 바깥. 여기서는 중국의 만리장성 바깥)로부터 나와서 장성(長城)을 뚫고 유하(楡河), 조하(潮河), 황하(黃河), 진천(鎭川) (백하(白河)의 지류(支流)를 이루는 강들)등의 여러 줄기와 어울려 밀운성[密雲城 : 중국 열하성(熱河省)의 경조윤(京兆尹)에 있는 지명] 밑을 지나 백하(白河 : 중국의 발해만으로 흐르는 강의 이름)가 되었다. 내가 어제 두 번째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바로 이 강의 하류(下流)였다. [내가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바로 이 강의 하류였다. : 필자가 밤에 건넌 강의 위치가 낮에 배로 건넜던 백하의 하류임을 밝힌 것이다.]

내가 아직 요동(遼東) 땅에 들어오지 못했을 무렵, 바야흐로 한여름의 뙤약볕 밑을 지척지척 걸었는데, 홀연(忽然 : 갑자기. 뜻밖에)히 큰 강이 앞을 가로막아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서 끝을 알 수 없었다[홀연히 큰 강이 앞을 가로막아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서 끝을 볼 수 없었다. : 갑자기 큰 강이 앞에 나타났는데, 그 강은 홍수로 말미암아 황톳빛의 큰 물결이 일어나서 끝 닿은 곳을 알 수 없을 정도였다. 산더미 같은 물결을 일으키며 무섭게 흘러가는 강물을 직유법과 과장법을 써서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아마 천 리 밖에서 폭우(暴雨)로 홍수(洪水)가 났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을 건널 때에는 사람들이 모두들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우러러보고 있기에, 나는 그들이 모두 하늘을 향하여 묵도(默禱 : 마음 속으로 하는 기도)를 올리고 있으려니 생각했었다.

그러나, 오랜 뒤에야 비로소 알았지만, 그 때 내 생각은 틀린 생각이었다. 물을 건너는 사람들이 탕탕(蕩蕩 : 힘차게. 수세(水勢)가 힘차게)히 돌아 흐르는 물을 보면, 굼실거리고(작은 벌레 같은 것이 굼뜨게 움직이고) 으르렁거리는 물결에 몸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현기(眩氣 : 눈이 아찔하고 어지러운 기운)가 일면서 물에 빠지기 쉽기 때문에, 그 얼굴을 젖힌 것은 하늘에 기도(祈禱)하는 것이 아니라, 숫제(무엇을 하기 전에 차라리. 아예) 물을 피하여 보지 않기 위함이었다. 사실, 어느 겨를에 그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었으랴![사실, 어느 겨를에 그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었으랴! : 사실, 어느 틈에 그 위기에 처한 목숨이 기도할 여유를 가질 수 있단 말인가? ― 자칫 잘못하면 금세 위험한 물결에 휩쓸려 죽을 판국인데, 어느 겨를에 기도인들 할 수 있겠는가? 너무나 위급한 지경이라서 기도할 틈도 없다는 것인데, 반드시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위급할수록 더욱 더 간절하게 기도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잠깐 동안의 목숨’은 한자 숙어인 ‘명재경각(命在頃刻)’과 뜻이 통한다. 설의법을 써서 필자의 판단이 옳음을 강조했다.]

그건 그렇고, 그 위험(危險)이 이와 같은데도, 이상스럽게 물이 성나 울어 대진 않았다.[그건 그렇고, 그 위험이 이와 같은데도, 이상스럽게 물이 성나 울어 대진 않았다. : (사람들이 물을 건널 때 얼굴을 젖힌 것은 하늘에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물을 보지 않으려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황톳물이 굼실거리는 홍수 때 요하를 건너는 위험이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는 것과 같은데도, 눈에 보이는 물결의 무서움에 너무 신경을 쓰다 보니, 물이 성내어 울부짖는 소리는 듣지 못했다.] 배에 탄 모든 사람들은 요동의 들이 넓고 평평해서 물이 크게 성나 울어 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것은 물을 잘 알지 못하는 까닭에서 나온 오해(誤解)인 것이다. 요하(遼河)가 어찌하여 울지 않았을 것인가? 그건 밤에 건너지 않았기 때문이다. 낮에는 눈으로 물을 볼 수 있으므로 그 위험한 곳을 보고 있는 눈에만 온 정신이 팔려 오히려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해야 할 판에, 무슨 소리가 귀에 들려온다는 말인가? 그런데, 이젠 전과는 반대로 밤중에 물을 건너니, 눈엔 위험한 광경(光景)이 보이지 않고, 오직 귀로만 위험한 느낌이 쏠려, 귀로 듣는 것이 무서워서 견딜 수 없는 것이다.

아, 나는 이제야 도(道)를 깨달았다. 마음을 잠잠하게 하는 자는 귀와 눈이 누(累 : 정신적인 괴로움이나 물질적인 손해)가 되지 않고[마음을 잠잠하게 하는 자는 귀와 눈이 누가 되지 않고 : 자기의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혀서 사물을 관조하여 사리를 판단하는 사람은 보고 듣는 것에 그르치는 일이 없고. 마음이 고요한 자는 귀로 듣는 것이나 눈으로 보는 것이 감정에 사로잡혀 사리를 판단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귀와 눈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아져서 큰 병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귀와 눈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아져서 큰 병이 된다. : 마음의 평정을 잃고 들리는 대로 보이는 대로 사물을 판단하는 사람은 그 외계(外界)의 현상에 사로잡혀 사리를 그릇 판단하게 된다.]

이제까지 나를 시중해 주던 마부(馬夫)가 말한테 발을 밟혔기 때문에, 그를 뒷수레에 실어 놓고, 이젠 내 손수 고삐를 붙들고 강 위에 떠 안장(鞍裝) 위에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모아 앉았는데, 한 번 말에서 떨어지면 곧 물인 것이다. 거기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물로 땅을 삼고, 물로 옷을 삼고, 물로 몸을 삼고, 물로 성정(性情 : 성질과 심정, 또는 타고 난 본성)을 삼을 것이리라.[물로 땅을 삼고, 물로 옷을 삼고, 물로 몸을 삼고, 물로 성정을 삼을 것이리라. : 물, 곧 자연과 나를 분리하여 생각하지 않고 물(자연)과 내가 하나임을 깨달아, 물에 빠짐을 결코 두려워하지 않으리라. 생사(生死)에 초연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를 나타내었다. 열거법, 역설법, 점층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마음의 판단(判斷)이 한번 내려지자, 내 귓속에선 강물 소리가 마침내 그치고 말았다. 그리하여, 무려 아홉 번이나 강을 건넜는데도 두려움이 없고 태연(泰然)할 수 있어, 마치 방안의 의자 위에서 좌와(坐臥 : 앉음과 누움)하고 기거(起居 : 일정한 곳에서 일상생활을 함)하는 것 같았다.

옛적에 우(禹 : 중국의 고대 전설상의 왕으로 하(夏)왕조의 시조. 치수 설화(治水說話)의 주인공임)가 강을 건너는데, 누런 용(龍)이 배를 등으로 져서[누런 용이 배를 등으로 져서 : ‘누런 용’ → ‘누런 강물’을 신비롭게 표현한 것임] 지극(至極)히 위험(危險)했다 한다. 그러나, 생사(生死)의 판단(判斷)이 일단 마음 속에 정해지자, 용이거나 지렁이거나, 혹은 그것이 크거나 작거나 간에 아무런 관계(關係)도 될 바가 없었다 한다.[옛날 우는 강을 건너는데 ~ 관계될 바 없었다 한다 : 우는 중국 하왕조의 시조, 치수 설화나 지덕 상징 설화의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이 예화도 마음 먹기에 따라 사물을 대하는 태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밝은 판단을 갖고 살아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소리와 빛은 모두 외물(外物 : 마음에 접촉되는 객관적 세계의 모든 대상)이다. 이 외물이 항상 사람의 이목(耳目 : 귀와 눈. 보고 들음)에 누(累)가 되어, 보고 듣는 기능(機能)을 마비(痲痺)시켜 버린다.[이 외물이 항상 사람의 이목에 누가 되어 보고 듣는 기능을 마비시켜 버린다. : 소리와 빛과 같은 외계(外界)의 현상이 사람의 이목을 현혹시켜서 참모습과 참소리를 가려 내지 못하게 한다.] 그것이 이와 같은데, 하물며 강물보다 훨씬 더 험하고 위태(危殆)한 인생의 길을 건너갈 적에 보고 듣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치명적(致命的 : 생사나 흥망에 관계될 만큼 결정적인)인 병이 될 것인가?[보고 듣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치명적인 병이 될 것인가? : 외물(外物)에 마음을 빼앗겨 보고 듣는 판단이 올바르지 못하면, 얼마나 큰 오류(誤謬)에 빠질 것인가? ]

나는 또 나의 산중으로 돌아가 앞내의 물소리를 다시 들으면서 이것을 경험(經驗)해 볼 것이려니와, 몸 가지는 데 교묘(巧妙 : 솜씨나 재치가 있고 약삭빠름)하고, 스스로 총명(聰明 : 정신이 밝고 예민함)한 것을 자신(自信)하는 자에게 이를 경계(警戒 : 타일러 주의시킴. 조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나는 또 ~ 경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 자신이 얻은 깨달음을 스스로의 삶에 적용하면서 자신하는 자는 내적 진실성이 없고 남을 현혹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해와 감상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는 박지원의 중국 여행기인 ‘열하일기(熱河日記)’ 중 ‘산장잡기(山莊雜記)’에 들어 있는 글로, ‘하룻밤 사이에 아홉 번 강을 건넌 기록’이라는 뜻으로, 시냇물 소리를 통하여 감각기관과 마음의 상관관계를 설명한 글로, ‘연암집(燕巖集)’ 권14 ‘열하일기’의 ‘심세편(審勢篇)’에 수록되어 있다.

박지원은 시내를 건너며 귀에 들려오는 물소리가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이를 통하여 인식의 허실을 예리하게 지적하고 있다. 사물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도달하는 방법은 외계의 영향을 배제한 순수한 이성적 판단에 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끝에서, 인생은 시내를 건너는 것보다 더 크고 더 험한 강을 건너가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자신의 몸을 닦고 자신의 총명함에 의거하여야 한다고 하여, 이러한 감정을 배제한 이성적인 인식을 궁극적으로는 삶을 영위하는 데까지 확충하여 이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작자는 이 글에서 자신의 도강(渡江) 체험과 평소 관찰을 바탕으로 깊은 인생의 진리를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고 있다. 묘사와 서사를 이용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다시 그것을 인간의 내적 세계와 연결짓는 방식은 주제를 매우 뚜렷하게 부각시킨다. 일상 생활에서 눈과 귀로 보고 듣는 가운데 현상에만 얽매여 진실을 깨닫지 못하고 허우적대는 현대인에게 귀감이 될 만한 글이다. ‘마음을 잠잠히 가지면 외물에 현혹이 없다’는 진리를 분석적·명상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격조 높은 글이다.

그리고 이 글을 읽다 보면 지은이의 사고는 무척 주도면밀하고 폭이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사고는 사물이나 현상을 보통 사람들과는 달리 관찰, 해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삶의 진실된 의미를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고 있다. 이 글에서는 큰 강물을 건너면서 누구나 겁을 먹게 마련인데, 그것은 강물의 흐름이나 소리만을 염두에 두기 때문임을 깨닫는 과정이 잘 그려져 있다. 그리고 사람이 살아가면서 어떻게 살아가야 진실한 삶이 될 수 있는가 하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지은이 나름의 답도 구하고 있다. 아울러 구체적인 경험이 있기에 가능했고 설득력을 얻고 있음도 보여 준다. 이 같은 사실을 통해 우리는 수필이라는 양식이 발견과 사고의 과정을 중요한 요소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화 자료

이 글에 드러난 지은이의 개성

첫째, 어휘 구사 등으로 보아 지식이 해박하고,

둘째, 물과 사람의 묘사나 서술로 보아 관찰이 예민하며,

셋째, 일단 믿는 바라도 다시 증험해 보겠다는 것으로 보아 대단히 신중하고 실용적이며,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를 경계하겠다는 것으로 보아 퍽 강직, 비판적인 사람으로 보인다.

이 글이 보여 주는 인간의 모습

이 글에는 두 가지 서로 상반되는 인간의 모습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첫째의 인간형은 외물(外物)에 매인 사람이다. 이들은 외적인 것에 팔려 본질적인 것을 알지 못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몸 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이다. 이들과 대조를 이루는 둘째의 인간형은 외물에 초연한 사람이다. 이들은 외물에 구애받지 않고 본질적인 자리에 선다. 그 대표적인 예가 ‘우(禹)’이다. 글 속의 ‘나’도 그러한 사람이다.

박지원(朴趾源/1737~1805)

조선 후기의 실학자·소설가. 본관 반남(潘南). 자 중미(仲美). 호 연암(燕巖).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돈령부지사(敦寧府知事)를 지낸 조부 슬하에서 자라다가 16세에 조부가 죽자 결혼, 처숙(妻叔) 이군문(李君文)에게 수학, 학문 전반을 연구하다가 30세부터 실학자 홍대용(洪大容)과 사귀고 서양의 신학문에 접하였다.

1777년(정조 1) 권신 홍국영(洪國榮)에 의해 벽파(僻派)로 몰려 신변의 위협을 느끼자, 황해도 금천(金川)의 연암협(燕巖峽)으로 이사, 독서에 전념하다가 80년(정조 4) 친족형 박명원(朴明源)이 진하사 겸 사은사(進賀使兼謝恩使)가 되어 청나라에 갈 때 동행, 랴오둥[遼東]·러허[熱河]·베이징[北京] 등지를 지나는 동안 특히 이용후생(利用厚生)에 도움이 되는 청나라의 실제적인 생활과 기술을 눈여겨 보고 귀국, 기행문 《열하일기(熱河日記)》를 통하여 청나라의 문화를 소개하고 당시 한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비판과 개혁을 논하였다.

86년 왕의 특명으로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이 되고 89년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 이듬해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제릉령(齊陵令), 91년(정조 15) 한성부판관을 거쳐 안의현감(安義縣監)을 역임한 뒤 사퇴했다가 97년 면천군수(沔川郡守)가 되었다. 이듬해 왕명을 받아 농서(農書) 2권을 찬진(撰進)하고 1800년(순조 즉위) 양양부사(襄陽府使)에 승진, 이듬해 벼슬에서 물러났다. 당시 홍대용·박제가 등과 함께 청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이른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의 실학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 당시의 양반계층 타락상을 고발하고 근대사회를 예견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창조함으로써 많은 파문과 영향을 끼쳤다.

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유득공(柳得恭)·이서구(李書九) 등이 그의 제자들이며 정경대부(正卿大夫)가 추증되었다. 저서에 《연암집(燕巖集)》 《과농소초(課農小抄)》 《한민명전의(限民名田義)》 등이 있고, 작품에 《허생전(許生傳)》 《호질(虎叱)》 《마장전(馬傳)》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민옹전(閔翁傳)》 《양반전(兩班傳)》 등이 있다.

열하일기(熱河日記)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중국 기행문집(紀行文集). 26권 10책. 규장각도서. 1780년(정조 4) 그의 종형인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을 따라 청(淸)나라 고종(高宗)의 칠순연(七旬宴)에 가는 도중 열하(熱河)의 문인들과 사귀고, 연경(燕京)의 명사들과 교유하며 그곳 문물제도를 목격하고 견문한 바를 각 분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이해 6월 24일 압록강 국경을 건너는 데에서부터 시작하여 요동(遼東)·성경(盛京)·산하이관[山海關]을 거쳐 베이징[北京]에 도착하고, 열하로 가서, 8월 20일 다시 베이징에 돌아오기까지 약 2개월 동안 겪은 일을 날짜 순서에 따라 항목별로 적었다.

연암의 대표작인 이 《열하일기》는 발표 당시 보수파로부터 비난을 받기도 하였으나, 중국의 신문물(新文物)을 망라한 서술, 그곳 실학사상의 소개로 수많은 조선시대 연경 기행문학의 정수(精髓)로 꼽힌다. 이 책은 당초부터 명확한 정본(正本)이나 판본(版本)도 없었고, 여러 전사본(轉寫本)이 유행되어 이본(異本)에 따라 그 편제(編制)의 이동이 심하다. 이 책에는 중국의 역사·지리·풍속·습상(習尙)·고거(攷據)·토목·건축·선박·의학·인물·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문학·예술·고동(古董)·지리·천문·병사 등에 걸쳐 수록되지 않은 분야가 없을 만큼 광범위하고 상세히 기술되었는데, 경치나 풍물 등을 단순히 묘사한 데 그치지 않고 이용후생(利用厚生) 면에 중점을 두어 수많은 《연행록(燕行錄)》 중에서도 백미(白眉)로 꼽힌다. 충남대학 도서관 소장 연암 수택본(手澤本) 26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1 <열하일기서(熱河日記序)> <도강록(渡江錄)>:서문은 필자 미상이나, 풍습 및 관습이 치란(治亂)에 관계되고, 성곽·건물·경목(耕牧)·도야(陶冶) 등 이용후생에 관계되는 일체의 방법을 거짓없이 기술하였다고 설명하였다. 또 <도강록>은 압록강에서 랴오양[遼陽]까지 15일간(1780.6.24∼7.9)의 기행문으로 중국인이 이용후생적인 건설에 심취하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권2 <성경잡지(盛京雜識)>:십리하(十里河)에서 소흑산(小黑山)까지 5일간의 기록으로, 특히 <속재필담(粟齋筆譚)> <상루필담(商樓筆譚)> <고동록(古董錄)>은 흥미 있는 내용이다.

권3 <일신수필(馹隨筆)>:신광녕(新廣寧)에서 산하이관까지 9일간의 기록으로, 그 서문 중의 이용후생학에 대한 논술이 독특하다.

권4 <관내정사(關內程史)>:산하이관에서 연경까지 11일간의 기록으로, 여기 수록된 한문 고대소설 <호질(虎叱)>은 연암의 소설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작품의 하나이다.

권5 <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연경에서 열하까지 5일간의 기록으로, 열하에 대하여 소상히 기록하였고, 그곳을 떠날 때의 아쉬운 심경을 그렸다.

권6 <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열하에 있는 태학(太學)에서 6일간 지낸 기록으로 당시 중국의 명망 있는 학자들과 더불어 나눈 한·중 두 나라 문물제도에 관한 논평 및 지동설(地動說)·달세계 등에 관한 토론이다.

권7 <구외이문(口外異聞)>:구베이커우[古北口] 밖의 기문이담(奇聞異談)을 적은 것으로, 반양(盤羊)에서 천불사(千佛寺)에 이르는 60여 종의 이야기이다.

권8 <환연도중록(還燕道中錄)>:열하에서 다시 연경으로 돌아오는 도중 6일간의 기록으로, 대개 교량·도로·방호(防湖)·방하(防河)·탁타(駝:庭園師)·선제(船制) 등에 관한 논평이다.

권9 <금료소초(金蓼小)>:주로 의술(醫術)에 관한 기록으로 《연암집(燕巖集)》에서는 이를 <보유(補遺)>라 한다.

권10 <옥갑야화(玉匣夜話)>:이본(異本)에 따라서는 <진덕재야화(進德齋夜話)>로 된 것도 있다. 여기 수록된 <허생전(許生傳)>은 연암 소설뿐만 아니라 한국 소설문학사에서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권11 <황도기략(黃圖紀略)>:황성(皇城)의 구문(九門)에서 화조포(花鳥鋪)까지 38종의 문관(門館)·전각(殿閣)·도지(島池)·점포(店鋪)·기물(器物) 등에 관한 기록이다.

권12 <알성퇴술(謁聖退述)>:순천부학(順天府學)으로부터 조선관(朝鮮館)에 이르기까지 역람한 기록이다.

권13 <앙엽기(葉記)>:홍인사(弘仁寺)에서 이마두총(利瑪竇塚)에 이르는 20개의 명소(名所)를 두루 구경한 기록이다.

권14 <경개록(傾蓋錄)>:열하의 태학(太學)에서 6일간 머물며, 그곳 학자들과 응수한 기록이다.

권15 <황교문답(黃敎問答)>:황교와 서학자(西學者)의 지옥(地獄)에 관한 논평이다. 끝에는 세계의 이민종(異民種)을 열거하는 가운데 특히 몽골과 아라사 종족의 강맹(强猛)함에 주의를 환기시킨다.

권16 <행재잡록(行在雜錄)>:청나라 황제의 행재소(行在所)에서의 자세한 견문록이다. 여기서 특히 청나라의 친선정책(親鮮政策)의 연유를 밝혔다.

권17 <반선시말(班禪始末)>:청 황제의 반선(班禪)에 대한 정책을 논하고, 또 황교(黃敎)와 불교가 근본적으로 같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권18 <희본명목(戱本名目)>.

권19 <찰습륜포(札什倫布)>:찰습륜포란 티베트어(語)로 ‘대승(大僧)이 살고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열하에 있을 때의 반선에 대한 기록이다.

권20 <망양록(忘羊錄)>:음악에 관하여 중국 학자들과 서로의 견해를 피력한 기록이다.

권21 <심세편(審勢編)>:당시 조선 사람의 오망(五妄)과 중국 사람의 삼난(三難)을 역설한 기록이다. 북학(北學)에 대한 예리한 이론을 펼쳤다.

권22 <곡정필담(鵠汀筆譚)>:중국 학자 윤가전(尹嘉銓)과 더불어 전날 태학(太學)에서 미진하였던 토론을 계속한 기록이다. 즉, <태학유관록> 중에서 미흡하였던 이야기인 월세계·지전(地轉)·역법(曆法)·천주(天主) 등에 대한 논술이다.

권23 <동란섭필(銅蘭涉筆)>:동란재(銅蘭齋)에 머물 때 쓴 수필이다. 주로 가사·향시(鄕試)·서적·언해(諺解)·양금(洋琴) 등에 대하여 쓴 것이다.

권24 <산장잡기(山莊雜記)>:열하산장에서의 여러 가지 견문기이다. 특히 <야출고북구기(夜出古北口記)>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상기(象記)> 등은 가장 비장하고 기괴하게 묘사되었다.

권25 <환희기(幻戱記)>:광피사표패루(光被四表牌樓) 아래서 중국 요술쟁이의 여러 가지 연기를 구경한 소감을 적은 이야기이다.

권26 <피서록(避暑錄)>:열하의 피서 산장에서 지낸 기록이다. 주로 조선과 중국 두 나라의 시문(詩文)에 대한 논평이다.

한편 연암의 후손에 의하여 최근 <양매시화(楊梅詩話)>가 새로 발견되었는데, 이는 양매서가(楊梅書街)에서 중국의 학자들과 주고받은 한시화(漢詩話)로서, 당시 옮겨 쓰려다가 우연히 누락된 것으로 짐작된다. 1911년 광문회(光文會)에서 국판 286면 활자본으로, 32년 박영철(朴榮喆)이 6책 활자본으로, 48년 김성칠(金聖七) 국역본이 정음사(正音社)에서 각각 나왔으며, 56년 타이완[臺灣]대학 도서관에 소장된 사본(寫本)을 영인(影印) 출판하였다. 또 최근 민족문화추진회의 《고전국역총서(古典國譯叢書)》 18∼19책으로 간행된 26권 2책의 이가원(李家源) 국역본이 있다. (자료 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열하일기

조선 정조 때에 박지원(朴趾源)이 청나라를 다녀온 연행일기(燕行日記). 26권 10책. 필사본.

[간행경위]

간본(刊本)으로는 1901년 김택영(金澤榮)이 ≪연암집 燕巖集≫ 원집에 이어 간행한 동 속집 권1·2(고활자본)에 들어 있고, 1911년 광문회(光文會)에서 A5판 286면의 활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32년 박영철(朴榮喆)이 간행한 신활자본 ≪연암집≫ 별집 권11∼15에도 전편이 수록되어 있다. 보유편도 있고 1956년 자유중국의 대만대학(臺灣大學)에서 동 대학 소장본을 영인한 것도 있다.

[내 용]

1780년(정조 4) 저자가 청나라 건륭제(乾隆帝)의 칠순연(七旬宴)을 축하하기 위하여 사행하는 삼종형 박명원(朴明源)을 수행하여 청나라 고종의 피서지인 열하를 여행하고 돌아와서, 청조치하의 북중국과 남만주일대를 견문하고 그 곳 문인·명사들과의 교유 및 문물제도를 접한 결과를 소상하게 기록한 연행일기이다.

각 권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강록〉은 압록강으로부터 랴오양(遼陽)에 이르는 15일간의 기록으로 성제(城制)와 벽돌 사용 등의 이용후생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성경잡지〉는 십리하(十里河)에서 소흑산(小黑山)에 이르는 5일간에 겪은 일을 필담(筆談) 중심으로 엮고 있다.

〈일신수필〉은 신광녕(新廣寧)으로부터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르는 병참지(兵站地)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관내정사〉는 산하이관에서 연경(燕京)에 이르는 기록이다. 특히 백이(伯夷)·숙제(叔齊)에 대한 이야기와 〈호질 虎叱〉이 실려 있는 것이 특색이다.

〈막북행정록〉은 연경에서 열하에 이르는 5일간의 기록이다. 〈태학유관록〉은 열하의 태학(太學)에서 머무르며 중국학자들과 지전설(地轉說)에 관하여 토론한 내용이 들어 있다. 〈구외이문〉은 고북구(古北口) 밖에서 들은 60여 종의 이야기를 적은 것이다.

〈환연도중록〉은 열하에서 연경으로 다시 돌아오는 6일간의 기록으로 교통제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금료소초〉는 의술(醫術)에 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옥갑야화〉는 역관들의 신용문제를 이야기하면서 허생(許生)의 행적을 소개하고 있다. 뒷날에 이 이야기를 〈허생전〉이라 하여 독립적인 작품으로 거론하였다.

〈황도기략〉은 황성(皇城)의 문물·제도 약 38종을 기록한 것이다. 〈알성퇴술〉은 순천부학(順天府學)에서 조선관(朝鮮館)에 이르는 동안의 견문을 기록하고 있다. 〈앙엽기〉는 홍인사(弘仁寺)에서 이마두총(利瑪竇塚)에 이르는 주요명소 20군데를 기술한 것이다.

〈경개록〉은 열하의 태학에서 6일간 있으면서 중국학자와 대화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황교문답〉은 당시 세계정세를 논하면서 각 종족과 종교에 대하여 소견을 밝혀놓은 기록이다. 〈행재잡록〉은 당시 청나라 고종의 행재소(行在所)에서 견문한 바를 적은 것이다. 그 중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취한 정책을 부분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반선시말〉은 청나라 고종이 반선(班禪)에게 취한 정책을 논한 글이다. 〈희본명목〉은 다른 본에서는 〈산장잡기〉 끝부분에 있는 것으로 청나라 고종의 만수절(萬壽節)에 행하는 연극놀이의 대본과 종류를 기록한 것이다. 〈찰십륜포〉는 열하에서 본 반선에 대한 기록이다.

〈망양록〉과 〈심세편〉은 각각 중국학자와의 음악에 대한 토론내용과 조선의 오망(五妄), 중국의 삼난(三難)에 대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곡정필담〉은 주로 천문에 대한 기록이다. 〈동란섭필〉은 가악(歌樂)에 대한 잡록이며, 〈산장잡기〉는 열하산장에서의 견문을 적은 것이다.

〈환희기〉와 〈피서록〉은 각각 중국 요술과 열하산장에서 주로 시문비평을 가한 것이 주요내용이다. ≪열하일기≫는 박제가(朴齊家)의 ≪북학의 北學議≫와 함께 “한 솜씨에서 나온 것 같다(如出一手).”고 한 평을 들었다.

주로 북학을 주장하는 내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고, 당시에 정조로부터 이 책의 문체가 순정(醇正)하지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으나 많은 지식층에게 회자된 듯하다.

[의 의]

종래의 연행록에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열하일기≫는 박지원의 기묘한 문장력으로 여러 방면에 걸쳐 당시의 사회문제를 신랄하게 풍자한 조선 후기 문학과 사상을 대표하는 걸작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熱河日記解題(민족문화추진회, 1983), 熱河日記의 敍述原理(李鐘周, 韓國學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82), 熱河日記의 文學的硏究(姜東燁, 建國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8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그리드형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나의 거처는 산중(山中)에 있었는데, 바로 문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 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마냥 전차(戰車)와 기마(騎馬), 대포(大砲)와 북 소리를 듣게 되어,그것이 이미 귀에 젖어 버렸다. 나는 옛날에, 문을 닫고 누운 채 그 소리들을 구분해 본 적이 있었다. 깊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바람 같은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청아(淸雅)한 까닭이며,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흥분(興奮)한 까닭이며, 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교만(驕慢)한 까닭이며, 수많은 축(筑)의 격한 가락인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노한 까닭이다. 그리고, 우르릉쾅쾅 하는 천둥과 벼락 같은 소리는 듣는 사람이 놀라 까닭이고, 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운치(韻致)있는 성격인 까닭이고, 거문고가 궁우(宮羽)에 맞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슬픈 까닭이고,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의심(疑心)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소리는, 올바른 소리가 아니라 다만 자기 흉중에 품고 있는 뜻대로 귀에 들리는 소리를 받아들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마음(심리)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 물소리 그런데, 나는 어제 하룻밤 사이에 한 강(江)을 아홉 번이나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長城)을 뚫고 유하, 조하, 황화, 진천 등의 여러 줄기와 어울려 밀운성 밑을 지나 백하(白河)가 되었다. 내가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바로 이 강의 하류였다. 하룻밤 동안에 강을 아홉 번 건넘 내가 아직 요동 땅에 들어오지 못했을 무렵, 바야흐로 한여름의 뙤약볕 밑을 지척지척 걸었는데, 홀연히 큰 강이 앞을 가로막아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서 끝을 볼 수 없었다. 아마 천 리 밖에서 폭우로 홍수가 났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을 건널 때에는 사람들이 모두들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우러러보고 있기에, 나는 그들이 모두 하늘을 향하여 묵도(默禱)를 올리고 있으려니 생각했었다. 그러나, 오랜 뒤에야 비로소 알았지만, 그 때 내 생각은 틀린 생각이었다. 물을 건너는 사람들이 탕탕(蕩蕩)히 돌아 흐르는 물을 보면, 굼실거리고 으르렁거리는 물결에 몸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현기(眩氣)가 일면서 물에 빠지기 쉽기 때문에, 그 얼굴을 젖힌 것은 하늘에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숫제 물을 피하여 보지 않기 위함이었다. 사실, 어느 겨를에 그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었으랴! 강을 건널 때 사람들이 하늘을 보는 이유 그건 그렇고, 그 위험이 이와 같은데도, 이상스럽게 물이 성나 울어 대진 않았다. 배에 탄 모든 사람들은 요동의 들이 넓고 평평해서 물이 크게 성나 울어 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것은 물을 잘 알지 못하는 까닭에서 나온 오해인 것이다. 요하(遼河)가 어찌하여 울지 않았을 것인가? 그건 밤에 건너지 않았기 때문이다. 낮에는 눈으로 물을 볼 수 있으므로 그 위험한 곳을 보고 있는 눈에만 온 정신이 팔려 오히려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해야만 할 판에, 무슨 소리가 귀에 들어온다는 말인가? 그런데, 이젠 전과는 반대로 밤중에 물을 건너니, 눈엔 위험한 광경이 보이지 않고, 오직 귀로만 위험한 느낌이 쏠려, 귀로 듣는 것이 무서워서 견딜 수 없는 것이다. 낮에 강을 건널 때와 밤에 건널 때의 차이 아, 나는 이제야 도(道)를 알았도다. 마음을 잠잠하게 하는 자는 귀와 눈이 누(累)가 되지 않고, 귀와 눈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아져서 큰 병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깨달음 이제까지 나를 시중해 주던 마부(馬夫)가 말한테 발을 밟혔기 때문에, 그를 뒷수레에 실어 놓고, 이젠 내 손수 고삐를 붙들고 강 위에 떠 안장 위에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모아 앉았는데, 한번 말에서 떨어지면 곧 물인 것이다. 거기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물로 땅을 삼고, 물로 옷을 삼고, 물로 몸을 삼고, 물로 성정(性情)을 삼을 것이리라. 이러한 마음의 판단이 한번 내려지자, 내 귓속에선 강물 소리가 마침내 그치고 말았다. 그리하여, 무려 아홉 번이나 강을 건넜는데도 두려움이 없고 태연할 수 있어, 마치 방 안의 의자 위에서 좌와(坐臥)하고 기거하는 것 같았다. 옛적에 우(禹)가 강을 건너는데, 누런 용이 배를 등으로 져서 지극히 위험했다 한다. 그러나, 생사의 판단이 일단 마음 속에 정해지자, 용이거나 지렁이거나, 혹은 그것이 크거나 작거나 간에 아무런 관계도 될 바가 없었다 한다. 소리와 빛은 모두 외물(外物)이다. 이 외물이 항상 사람의 이목(耳目)에 누(累)가 되어, 보고 듣는 기능을 마비시켜 버린다. 그것이 이와 같은데, 하물며 강물보다 훨씬 더 험하고 위태한 인생의 길을 건너갈 적에 보고 듣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치명적인 병이 될 것인가? 마음가짐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짐. 나는 또 나의 산중으로 돌아가 앞내의 물 소리를 다시 들으면서 이것을 경험해 볼 것이려니와,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에게 이를 경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외물에 치우친 삶의 태도를 경계함. * 전차와 기마, 대포와 북 소리 : 시냇물 흘러가는 소리 * 깊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바람 같은 소리 : 그윽하고 맑은 소리 *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소리 : 요란하고 불안정한 소리 * 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 경쟁이라도 하듯 싸우는 소리 * 축 : 비파와 유사한 현악기의 한 종류 * 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듯한 소리 : 평온하고 여유가 느껴지는 소리 * 궁우 : 옛날의 음계명, 동양 음악의 5음인 궁상각치우 중에서 궁음과 우음. * 거문고가 궁우에 맞는 듯한 소리 : 고요하면서 쓸쓸한 소리 *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듯한 소리 : 가늘게 떨리는 소리 * 새외 : 만리장성의 바깥, 변방 * 묵도 : 눈을 감은 채 소리내지 않고 마음 속으로 하는 기도 * 탕탕히 : 물살이 매우 거세게 * 굼실거리고 : 구불구불 물결을 이루며 자꾸 넘실거리고 * 숫제 : 아예 * 잠깐 동안의 목숨 : 목숨이 매우 위급한 상황 * 성정 : 성질과 심정 * 좌와 : 앉거나 누움 * 외물 : 외부 세계로부터의 자극이나 영향 *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 : 내적 진실성이 없고 남을 현혹하는 사람.

一夜九渡河記(일야구도하기)-朴趾源(박지원)

一夜九渡河記(일야구도하기)-朴趾源(박지원)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넌 기록

河出兩山間(하출량산간) : 강물은 두 산 사이에서 흘러 나와

觸石鬪狠(촉석투한) : 돌에 부딪혀, 싸우는 듯 뒤틀린다.

其驚濤駭浪(기경도해랑) : 그 놀랜 파랑

憤瀾怒波(분란노파) : 분하고 성난 물줄기

哀湍怨瀨(애단원뢰) : 슬픈 듯 원망하 듯한 여울

犇衝卷倒(분충권도) : 우루루 몰려들고 뒤말려 부서진다

嘶哮號喊(시효호함) : 불부짓 듯 포효한다

常有摧破長城之勢(상유최파장성지세) : 노상 장성을 뒤흔들어 쳐부술 기세다.

戰車萬乘(전차만승) : 전차(戰車) 만 승(萬乘)과

戰騎萬隊(전기만대) : 전기(戰騎) 만 대(萬隊)

戰砲萬架(전포만가) : 전포(戰砲) 만 가(萬架)와

戰鼓萬坐(전고만좌) : 전고(戰鼓) 만 좌(萬座)로써도

未足諭其崩塌潰壓之聲(미족유기붕탑궤압지성) :

그 퉁탕거리며 무너져 쓰러지는 소리를 충분히 형용(形容)할 수 없을 것이다.

沙上巨石(사상거석) : 모래 위엔 엄청난 큰 돌이

屹然離立(흘연리립) : 우뚝 솟아 멀리 있고,

河堤柳樹(하제류수) : 강 둑에 버드나무는

窅冥鴻濛(요명홍몽) : 어둡고 컴컴한 가운데 서 있어서,

如水祗河神(여수지하신) : 마치 물귀신과 하수(河水)의 귀신(鬼神) 들이

爭出驕人(쟁출교인) : 서로 다투어 사람을 엄포하는 듯한데,

而左右蛟螭(이좌우교리) : 좌우의 이무기들이

試其挐攫也(시기나확야) : 솜씨를 시험(試驗)하여 사람을 붙들고 할퀴려고 애를 쓰는 듯하다.

或曰(혹왈) : 어떤 이가 말하기를,

此古戰塲(차고전장) : 이 곳이 전쟁(戰爭)터였기 때문에

故河鳴然也(고하명연야) : 강물이 그렇게 운다고 말한다.

此非爲其然也(차비위기연야) : 그러나, 이것은 그런 때문이 아니다.

河聲在聽之如何爾(하성재청지여하이) :

강물 소리란, 사람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余家山中(여가산중) : 나의 집은 산속에 있었는데

門前有大溪(문전유대계) : 바로 문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每夏月急雨一過(매하월급우일과) :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 번 지나가면,

溪水暴漲(계수폭창) :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常聞車騎砲鼓之聲(상문차기포고지성) :

마냥 전차(戰車)와 기마(騎馬), 대포(大砲)와 북소리를 듣게 되어,

遂爲耳祟焉(수위이수언) : 마침내 이미 귀에 젖어 버렸다.

余甞閉戶而臥(여상폐호이와) : 나는 지난 번에 문을 닫고 누운 채

比類而聽之(비류이청지) : 그 소리들을 구분해 본적이 있었다.

深松發籟(심송발뢰) : 깊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바람 같은 소리,

此聽雅也(차청아야) : 이것은 듣는 사람이 청아한 까닭이며,

裂山崩崖(렬산붕애) :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소리,

此聽奮也(차청분야) : 이것은 듣는 사람이 흥분한 까닭이며,

群蛙爭吹(군와쟁취) : 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此聽驕也(차청교야) : 이것은 듣는 사람이 교만한 까닭이며,

萬筑迭響(만축질향) : 수많은 축(筑)의 격한 가락인 듯한 소리,

此聽怒也(차청노야) : 이것은 듣는 사람이 노한 까닭이다.

飛霆急雷(비정급뢰) : 그리고, 우르릉쾅쾅 하는 천둥과 벼락 같은 소리는

此聽驚也(차청경야) : 듣는 사람이 놀란 까닭이고,

茶沸文武(다비문무) : 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듯한 소리는

此聽趣也(차청취야) : 듣는 사람이 운치(韻致) 있는 성격(性格)인 까닭이고,

琴諧宮羽(금해궁우) : 거문고가 궁우(宮羽)에 맞는 듯한 소리는 듣는

此聽哀也(차청애야) : 사람이 슬픈 까닭이고,

紙牕風鳴(지창풍명) :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듯한 소리는

此聽疑也(차청의야) : 사람이 의심(疑心)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皆聽不得其正(개청불득기정) : 따라서, 이러한 모든 소리는, 올바른 소리가 아니라

特胷中所意設而耳爲之聲焉爾(특흉중소의설이이위지성언이) :

다만 자기 흉중에 품고 있는 뜻대로 귀에 들리는 소리를 받아들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今吾夜中一河九渡(금오야중일하구도) :

그런데 나는 어제 하룻밤 사이에 한 강(江)을 아홉 번이나 건넜다.

河出塞外(하출새외) :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穿長城會楡河潮河(천장성회유하조하) : 장성(長城)을 뚫고 유하(楡河), 조하(潮河),

黃花鎭川諸水(황화진천제수) : 황하(黃河), 진천(鎭川) 등의 여러 줄기와 어울려

經密雲城下(경밀운성하) : 밀운성(密雲城) 밑을 지나

爲白河(위백하) : 백하(白河)가 되었다.

余昨舟渡白河(여작주도백하) : 내가 어제 두 번째로 백하를 건넜는데,

乃此下流(내차하류) : 이것은 바로 이 강의 하류(下流)였다.

余未入遼時(여미입료시) : 내가 아직 요동(遼東) 땅에 들어오지 못했을 무렵,

方盛夏(방성하) : 바야흐로 한여름이라

行烈陽中而忽有大河當前(행렬양중이홀유대하당전) :

뙤약볕 밑을 지척지척 걸었는데 홀연(忽然)히 큰 강이 앞을 가로막아

赤濤山立(적도산립) :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서

不見涯涘(불견애사) : 끝을 알 수 없었다.

葢千里外暴雨也(개천리외폭우야) :

아마 천 리 밖에서 폭우(暴雨)로 홍수(洪水)가 났었기 때문일 것이다.

渡水之際(도수지제) : 물을 건널 때에는

人皆仰首視天(인개앙수시천) : 사람들이 모두들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우러러보고 있어

余意諸人者仰首默禱于天(여의제인자앙수묵도우천) :

나는 그들이 모두 하늘을 향하여 묵도(黙禱)를 올리고 있으려니 생각했었다.

久乃知渡水者(구내지도수자) : 그러나, 오랜 뒤에야 비로소 알았지만,

視水洄駛洶蕩(시수회사흉탕) : 물을 건너는 사람들이 탕탕(蕩蕩)히 돌아 흐르는 물을 보면,

身若逆溯(신약역소) : 몸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고

目若沿流(목약연류) : 눈이 물 따라 흐르는 것 같아

輒致眩轉墮溺(첩치현전타닉) : 갑자기 현기(眩氣)가 일면서 물에 빠지기 쉽기 때문에,

其仰首者非禱天也(기앙수자비도천야) : 그 얼굴을 젖힌 것은 하늘에 기도(祈禱)하는 것이 아니라,

乃避水不見爾(내피수불견이) : 숫제 물을 피하여 보지 않기 위함이었다.

亦奚暇默祈其須臾之命也哉(역해가묵기기수유지명야재) :

사실, 어느 겨를에 그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었으랴!

其危如此而不聞河聲(기위여차이불문하성) :

그 위험(危險)이 이와 같은데도, 이상스럽게 물이 성나 울어 대진 않았다.

皆曰遼野平廣(개왈료야평광) : 배에 탄 모든 사람들은 요동의 들이 넓고 평평해서

故水不怒鳴(고수불노명) : 물이 크게 성나 울어 대지 않는다고 말했다.

此非知河也(차비지하야) : 이것은 물을 잘 알지 못하는 까닭에서 나온 오해(誤解)인 것이다.

遼河未甞不鳴(료하미상불명) : 요하(遼河)가 어찌하여 울지 않았겠는가

特未夜渡爾(특미야도이) : 다만 밤에 건너지 않았기 때문이다.

晝能視水(주능시수) : 낮에는 눈으로 물을 볼 수 있으므로

故目專於危(고목전어위) : 눈이 그 위험한 곳을 보고 있어

方惴惴焉(방췌췌언) : 막 두렵기만 하다

反憂其有目(반우기유목) : 오히려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해야 할 판에,

復安有所聽乎(부안유소청호) : 무슨 소리가 귀에 들려온다는 말인가

今吾夜中渡河(금오야중도하) : 이젠 전과는 반대로 밤중에 물을 건너니,

目不視危則危專於聽(목불시위칙위전어청) :

눈엔 위험한 광경(光景)이 보이지 않고, 오직 귀로만 위험한 느낌이 쏠려,

而耳方惴惴焉(이이방췌췌언) : 귀로는 막 무서워서

不勝其憂(불승기우) : 그 두려움을 이길 수 없는 것이다.

吾乃今知夫道矣(오내금지부도의) : 나는 이제야 도(道)를 깨달았다.

冥心者(명심자) : 마음을 잠잠하게 하는 자는

耳目不爲之累(이목불위지루) : 귀와 눈이 누(累)가 되지 않고,

信耳目者(신이목자) : 귀와 눈만을 믿는 자는

視聽彌審而彌爲之病焉(시청미심이미위지병언) :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아져서 큰 병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今吾控夫(금오공부) : 이제 나는 시중해 주던 마부(馬夫)가

足爲馬所踐(족위마소천) : 말한테 발을 밟혔기 때문에,

則載之後車(칙재지후차) : 그를 뒷수레에 실어 놓고,

遂縱鞚浮河(수종공부하) : 이젠 내 손수 고삐를 붙들고 강 위에 떠

攣膝聚足於鞍上(련슬취족어안상) : 안장 위에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모아 앉았는데,

一墜則河也(일추칙하야) : 한 번 말에서 떨어지면 곧 물인 것이다.

以河爲地(이하위지) : 물로 땅을 삼고,

以河爲衣(이하위의) : 물로 옷을 삼고,

以河爲身(이하위신) : 물로 몸을 삼고,

以河爲性情(이하위성정) : 물로 성정(性情)을 삼을 것이리라.

於是心判一墜(어시심판일추) : 이러한 마음의 판단(判斷)이 한번 내려지자,

吾耳中遂無河聲(오이중수무하성) : 내 귓속에선 강물 소리가 마침내 그치고 말았다.

凡九渡無虞(범구도무우) : 무려 아홉 번이나 강을 건넜는데도 두려움이 없고

如坐臥起居於几席之上(여좌와기거어궤석지상) :

마치 방안의 의자 위에서 좌와(坐臥)하고 기거(起居)하는 것 같았다.

昔禹渡河(석우도하) : 옛적에 우(禹)가 강을 건너는데,

黃龍負舟至危也(황룡부주지위야) :

누런 용(龍)이 배를 등으로 져서 지극(至極)히 위험(危險)했다.

然而死生之辨(연이사생지변) : 그러나, 생사(生死)의 판단(判斷)이

先明於心(선명어심) : 먼저 마음 속에 분명해지자

則龍與蝘蜓(칙룡여언정) : 용이거나 지렁이거나,

不足大小於前也(불족대소어전야) : 앞에서 혹은 그것이 크거나 작거나 간에

聲與色外物也(성여색외물야) : 아무런 관계(關係)도 될 바가 없었다 한다.

外物常爲累於耳目(외물상위루어이목) :

소리와 빛은 모두 외물(外物)이다. 이 외물이 항상 사람의 이목(耳目)에 누(累)가 되어,

令人失其視聽之正如此(령인실기시청지정여차) :

보고 듣는 기능(機能)을 마비(痲痺)시켜 버림이 이와 같은데,

而况人生涉世(이황인생섭세) : 하물며 인생의 길을 건너갈 적에

其險且危(기험차위) : 그 험하고 위험함이

有甚於河(유심어하) : 강물보다 심하니

而視與聽(이시여청) : 위태(危殆)한 보고 듣는 것이야말로

輒爲之病乎(첩위지병호) : 얼마나 치명적(致命的)인 병이 될까

吾且歸吾之山中(오차귀오지산중) : 나는 또 나의 산중으로 돌아가

復聽前溪而驗之(부청전계이험지) :

다시 앞내의 물소리를 다시 들으면서 이것을 경험(經驗)해 볼 것이니

且以警巧於濟身而自信其聰明者(차이경교어제신이자신기총명자) :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에게 경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야구도하기 해석 hwp 기출 비평

– 일야구도하기 해석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박지원. 나의 거처는 산중山中에 있었는데, 바로 문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 번 지나 청목 국어 국어의 숲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박지원 . 그리고 그 사고는 사물이나 현상을 보통 사람들과는 달리 관찰, 해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삶의 진실된 의미 일야구도하기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박지원 지음. 김명호 옮김. 강물은 두 산 사이에서 흘러 나와 바윗돌에 부딪혀, 다투는 듯 거세게 흐른다. 놀란 듯한 파도, 성난 듯한 일야구도하기박지원

나의 생각 세상에 깨달은 인간은 모두 유물론자다. 연암은 물소리도 관념론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유물론적으로 받아들였다. 어제 열하일기 3권 중 2권까지 다 읽었다 열하일기 돌베개 것 2권에서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일부

– 일야구도하기 hwp

화법 영역의 말하기 방식C형 10번도 긍정발문으로 출제하여 여러 화자의 말하기 문학 지문으로는 신경림의 농무,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 이광수의 무정 남부고시 이유진 국어 2018년 지방직 7급 총평.hwp

일야구도하기박지원정리문제24.hwp. 다운 받아서 꼭 풀어오세요. 본자료는 수강생을 위한 자료로 정답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수업 시간에만 제공 일야구도하기박지원문제23

나의 거처居處는 산중山中에 있었는데, 바로 문 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큰비가 한 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일야구도하기 박지원

예컨대 <일야구도하기>에서 今吾夜中一夜九渡의 일야구도一夜九渡 번역에 대해 많은 분들이 아홉 번이나 건넜다라고 번역했으나 옮긴이는 아홉 번 건넜다 잊혀진 책 우리나라 최고의 글쟁이 박지원의 대표작, 연암 산문집

ꡐ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ꡑ 같은 작품이 그러한 보기이다. 또한 풍자와 해학이 담긴 ꡐ호질虎叱ꡑ이라는 글도 수록돼 있다. 춘추시대 풍기가 문란했던 정나라를 배경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 일야구도하기 기출

일야구도하기박지원정리문제24.hwp. 다운 받아서 꼭 풀어오세요. 본자료는 수강생을 위한 자료로 정답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수업 시간에만 제공 일야구도하기박지원문제23

문학 지문으로는 신경림의 농무,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 이광수의 무정, 필수 작품과 최근 EBS와 수능 평가원 기출 제재인 시나리오 공동경비구역 JSA 남부고시 이유진 국어 2018년 지방직 7급 총평.hwp

2006. 1. 31. 답글 8개박지원의 고전수필,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열하일기熱河日記 중 산장 그 위험함이 이와 같으니, 물 소리도 듣지 못하고 모두 말하기를, 일야구도하기

독서, 일야구도하기2월 온라인 문학, 고전문학 마스터 64P, 옛 그림의 원근법건대반 190P, 너를 기다리는 동안4월 온라인 문학, 장마2월 온라인 문학, 책세집 적중 2020 특례 국어 출제 분석+적중 내용

단지김정한 사친신사임당 조홍시가박인로 속미인곡 도산십이곡 숙향전 일야구도하기 박지원 서 있는 사람들 법정 9월 갈대신경림 흰 바람벽이 있어백석 20022017 평가원 기출 문학 작품 목록

– 일야구도하기 비평

시내가 산과 산 사이로 흘러나와 급한 경사와 바위 등의 굴곡에 의하여 부딪힌 물결이 울부짖는 듯하게 들리기도 하고 전차 만대가 굴러가는 것처럼 큰소리를 낸다.누락된 검색어 비평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키워드 보기.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맥락 사회구성주의 명심 Yeon Am IlYaGuDoHaGi context social constitutionism MyoungSim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Kiss

명수필 ⑬ 차은혜 심산한 마음을 치유하는 상비약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 기획연재|드라마 비평 ⑥ 이숙 기억의 아케이드 응답하라 1994 사색의 창 김은주 수필의 세계화를 목표로 하는 수필과비평 2014년 1월호를 소개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일 야구 도 하기

다음은 Bing에서 일 야구 도 하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 EBS
  • EBSi
  • EBSi고교강의
  • EBSi 고교강의
  • 수능
  • 내신
  • 만점
  • 등급
  • 1등급
  • 등급컷
  • 고1
  • 고2
  • 고3
  • 예비고1
  • 예비고2
  • 예비고3
  • studywithme
  • voca
  • 영어
  • 국어
  • 수학
  • 영어단어
  • 영단어
  • 수능연계
  • 수능연계기출
  • 수능연계단어
  • 단어암기
  • 암기
  • 공부
  • 공부법
  • 공부방법
  • 특강
  • 대입
  • 2022수능
  • 2022대입
  • 2023대입
  • 대입설명회
  • 입시
  • 대학입시
  • 학습법
  • 인강
  • 독학
  • 인강강사
  • 고등학교
  • 고등학생
  • 학력평가
  • 모의평가
  • 모의고사
  • 대학수학능력시험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YouTube에서 일 야구 도 하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색안경을 끼고 보지마요😎🚫 l 일야구도하기 l 10 CUT 고전산문 | 일 야구 도 하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감사와 기도 |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최근 답변 204개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